[서울와이어 이동화 기자] 미국의 정책금리인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발표를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양적완화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트위터에서 중국의 경기 부양책 결정을 예로 들며 “물가 상승률이 매우 낮지만 연준은 금리인상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연준이 금리를 1% 정도 낮추고 약간의 양적완화를 한다면 미국 경제는 로켓처럼 상승할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양적완화를 하면 연방정부 채무 역시 상대적으로 작아질 것이라는 입장도 강조했다.

연준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제로(0) 금리’ 정책과 ‘양적완화’ 정책을 추진했지만 2015년 말 통화정책 정상화에 나섰다. 2017년부터는 4조5000억 달러 규모로 확대된 보유자산을 축소하는 양적긴축에 돌입했고 지난해 총 4차례 금리를 인상했다.

하지만 올 들어 기준금리 인상을 사실상 중단하고 9월 말까지 보유자산 축소도 종료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이번 FOMC에서 금리를 현행 2.25~2.50%로 유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금리가 2%를 넘어서는 안된다”며 금리 동결이 아닌 인하를 요구하고 있다.

주요 외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에 날을 세우는 것은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 하락 등 경제지표 부진으로 경기 둔화 우려가 현실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여기에 경기 둔화가 현실화할 경우 내년 치러질 재선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도 시야에 넣고 있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한편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틀간의 FOMC가 끝나는 1일 기준금리를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한다.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금리인하가 필요하다는 트럼프 대통령이 독립적으로 통화정책을 담당하는 연준에 대한 인하 압박을 강화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의견이 우세하지만 인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