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 이동화 기자] 북한이 지난 4일 강원도 원산에서 발사한 발사체에 신형 전술유도무기가 포함된 것으로 밝혀진 가운데 유엔안보리의 대북 추가제재 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다.

5일 국방부는 북한이 신형 전술유도무기를 포함해 다수의 240㎜, 300㎜ 방사포(로켓포)를 발사한 것으로 파악된다며 한미 정보당국이 자세한 탄종과 제원 등을 공동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발사한 발사체 중 하나가 ‘북한판 이스칸다르‘로 불리는 지대지 탄도미사일일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NHK 등 외신은 “탄도미사일 기술을 적용한 어떠한 발사실험도 금지하고 있는 유엔안보리 결의에 위반한 행위”라고 보도했다.

AFP통신 역시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인용해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 입회 하에 장거리 다연장 로켓포 공격 훈련을 실시했다”며 유엔 결의를 위반했음을 지적했다.

이날 국방부는 북한이 발사한 단거리 발사체들의 사거리는 각각 70~240여㎞이며 김 위원장이 참관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신형 전술유도무기 기종에 대해서는 “군사 전문가 분석으로는 지난해 2월 8일 열린 북한 열병식에 등장한 무기와 유사하지만 아직 정밀한 분석이 필요하다”며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NHK는 우리 군 관계자를 인용해 “이 무기에 대해 한미 양국이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며 “탄도미사일인지 아닌지를 평가하려면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신중한 견해를 밝혔다”고 전했다.

한편 북한의 미사일 발사 때마다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던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북한의 비핵화 논의에서 사실상 배제되며 ‘재팬 패싱’ 우려가 커진 가운데 북일 정상회담 성사를 위해 북한을 자극하지 않으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과의 북일 정상회담에 적극적 자세를 보이고 있는 아베 총리는 최근 산케이신문 인터뷰에서 “아무 조건을 붙이지 않고 김 위원장과 만나 솔직하게 이야기해 보고 싶다”고 말했다.

납치 문제에 진전이 없으면 북한과의 만남은 없다고 주장하던 아베 총리는 지난 2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에서 일본인 납치 문제에 대해 언급한 김 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조만간 아베 총리와 만날 예정”이라고 말했다는 교도통신 보도 후 돌연 입장을 바꿨다.

중국도 북한과의 대화를 중시해야 한다는 중립적 입장을 내놨다.

이날 중국을 방문 중인 일본 초당파 의원 모임 ’일중우호의원연맹‘ 의원들과 만난 중국 공산당 서열 4위 왕양(汪洋) 정협 주석은 북한의 발사체 발사와 관련 “정보를 확인 중”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