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와이어 김수진 기자] 최근 5년 새 성조숙증 환자가 42.3%가 증가했으며, 남아 환자가 여아 환자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3~2017년 ‘성조숙증(조발사춘기, E301)’질환 환자를 분석한 결과, 2017년 건강보험 ‘성조숙증’ 환자는 95,401명에 달하며, 이는 2013년 67,021명에서 연평균 9.2%(28,380명) 증가한 수치다.

 

성별 진료실 인원은 남아는 2013년 5,935명에서 2017년 9,595명으로 연평균 12.8%(3,660명) 증가하였고, 여아는 2013년 61,086명에서 2017년 85,806명으로 연평균 8.9%(24,720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최근 남아환자 연평균 증가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정인혁 교수에 따르면 “최근 우리나라 환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에서 진성 성조숙은 여아에서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최근 발표된 미국 연구와 일부 유럽 연구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며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 식생활 변화에 따른 비만 그리고 빠른 사춘기의 가족력 등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남아의 경우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아에 비해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남아의 경우 역시 환경오염, 비만, 가족력 등이 주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성조숙증’질환 환자는 여아의 경우 5~9세 이하, 남아의 경우 10~14세 이하 연령대에서 요양기관을 많이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적용인구 대비 진료인원 수를 분석한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2017년 기준으로 5~9세 이하 연령대 100명 중 약 2.3명이, 10~14세 이하 연령대 100명 중 약 1.8명이 ‘성조숙증’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다.

 

이에 대해 정인혁 교수는 여아의 경우는 실제 성조숙 증상(가슴발달, 머리냄새 변화, 음모 시작 등)이 많아지고 있어 의료 기관을 찾는 경우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나, 남아의 경우 의료 기관을 찾는 주 연령대가 10세 이후로 실제 성조숙증이 아닌 키 성장에 대한 걱정으로 의료 기관을 찾는 경우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이다.

 

‘성조숙증’ 질환의 전체 진료비를 살펴보면, 2013년 354억 원에서 2017년 499억 원으로 145억 원이 증가하여 연평균 8.9% 증가하였다. 또한  2017년 한 해 ‘성조숙증’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 중 전체의 65%에 해당하는 7만 5천 여 명이 종합병원에서 진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다음으로 의원 14%(16,543명), 병원 10%(11,836명) 순이었다.

 

‘성조숙증’ 질환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 시 문제점에 대해서 정인혁 교수는  “성조숙증 당사자는 조기 골단 융합으로 최종 성인 신장이 작아지며, 신체적 정신적 불안의 문제와 성적 학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여아의 경우 초경이 빠를 경우 유방암의 위험이 증가하며 불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이어 ‘성조숙증’ 질환의 예방방법으로는 “환경 호르몬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인스턴트 식품 줄이기 등의 노력과 적절한 영양 상태를 유지하여 비만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sjkimcap@seoulwire.com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