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 본사(사진=이현영 기자)

 

[서울와이어 염보라 기자] 내년부터 금융그룹 통합감독 대상 기업들에 대한 전이위험 평가가 시행되는 가운데, 기업의 자본확충 부담도 커질 전망이다.

특히 현재 국회 계류 중인 금융그룹 통합감독법이 시행될 경우 미래에셋의 자본비율은 157.0%포인트 가량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계열사 미래에셋캐피탈을 통한 '다단계 출자'가 문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11일 금융그룹 최고경영자(CEO)들과 간담회를 갖고 7개 금융그룹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공개했다. 

금융그룹 통합감독법이 시행되면 기업은 그룹의 '적격자본'을 업권별 요구자본과 추가위험을 가산한 '필요자본'으로 나눈 자본비율을 100%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만약 이 수치가 100%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그룹은 비금융 계열사 지분을 팔거나 배당 등을 통한 자본 확충이 필요하다.

문제는 전이위험을 평가에 반영하면 7개 금융그룹 모두 자본비율이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시뮬레이션 결과 미래에셋은 전이위험 고려 시 자본비율이 125.3%까지 내려가는 것으로 예상됐다. 이 회사의 기본자본비율은 282.3%로 무려 157.0%포인트가 빠져나가는 셈이다.

이밖에 삼성(329.7%→220.5%), 교보(318.4%→210.4%)도 100% 이상이 낮아질 것으로 계산됐다. 롯데(232.7%→168.2%), 한화(213.4%→156.9%), DB(215.8%→167.2%), 현대차(184.9%→141.5%) 등도 자본비율 하락이 점처졌다.

다만 이동엽 금융위 감독제도팀장은 "가장 보수적으로 계산한 수치"라며 "적용 과정에선 이보다 수치가 오르고, 그룹 간 순위도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내년 상반기부터 전이위험을 상호연계성·이해상충 가능성·위험관리체계 등 3대 부문, 7개 평가 항목으로 나눠 1년에 한 번씩 평가할 예정이다.
 

세부평가 항목은 △대표회사 이사회의 권한·역할 △그룹 차원의 위험관리체계 △계열사 출자관계 △내부거래 위험·의존도 △비금융계열사 부실화 위험 △금융·비금융 계열사간 소유·출자 구조의 복잡성 △금융그룹 자기자본 대비 대주주 등 신용공여 비중 △공정거래위원회 등 위법행위 제재 여부 등이다.

당국은 이달까지 모의평가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연구용역을 줘 연내 필요자본 가산 산정 방식을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

bora@seoulwire.com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