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제공

 

[서울와이어 염보라 기자] 6.12 센토사섬 성명 이후 남북 경제협력 재개에 대한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대체로 '긍정적 모멘텀을 찾기 어렵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북한이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 약속에 대해 변심하지만 않는다면 경협은 예상외로 빨리 진행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하인환 SK증권 연구원은 "6.12 북미정상회담 결과가 아쉬웠던 이유는 구체적 내용이 없었기 때문”이라며 “이에 따라 경협주의 숨고르기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남북 경협주는 5월 중순부터 부진한 흐름을 이어갔으며 12일 북미정상회담 관련 기자회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이 되돌릴 수 없는 수준까지 비핵화를 실현하기 전까지는 경제제재를 풀어줄 마음이 없다"고 못박으면서 급락세를 나타냈다.

하 연구원은 “이러한 흐름을 극복하고 주가 상승을 위해서는 단순히 분기정상회담과 같은 이벤트가 아닌 ‘개성공단 재가동’과 같은 기존에 합의되지 않은 새로운 내용이 추가돼야 할 것”이라면서 “하지만 향후 예정된 주요 일정에서 당분간 이와 같은 새로운 내용이 추가되긴 어려워 보인다”고 전망했다.

고유환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교수 역시 "미국이나 한국 모두 북한이 비핵화와 관련해 진정성 있는 행동과 조치를 행할 때까지 제재를 완화할 생각이 없다는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대북사업 관련)연구를 할 순 있어도 안보리 결의에 위반되는 남북경협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고 교수는 북한이 속도감 있게 지식경제산업을 일으킬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김정은 위원장이 완전한 비핵화와 경제발전의 맞교환을 결심한 이상 비핵화 프로세스를 늦추진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김준형 한동대학교 정치학박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회담 취소를 거론한 시점에서 중국 통신장비업체 ZTE(중싱통신)가 몰래 북한과 이란에 대한 경제 제재를 풀었던 사례를 들며 "과연 옛날같이 일사분란한 경제제재가 가능할까"라고 반문했다. 

그는 "큰 물고가 터졌는데 북한에 대한 제재를 언제까지 유지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12일 기자회견에서 언급한) 되돌릴 수 없는 시점이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고, 경제협력 역시 의외로 빨리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내년까지 소규모 대북 제재 완화가 있을 것이며 2019년부터 북핵 사찰과 검증이 진행되면서 대북제재가 대폭 완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에 따라 2019년까지는 개성공단 및 금강산 관광 재개, 동해 경의선 철도 연결 등이 추진되고 이후 한반도 신경제지도계획 진행으로 인프라·가스·철도·물류·항만·기계·관광 관련주 등이 유망할 것으로 기대했다.
 

김 연구원은 "2020년 이후 장기적으로는 북한식 시장 경제 계획이 시작될 것"이라며 "신마셜플랜(미국·중국·일본·러시아 기업 투자 진행), 북미 수교, WTO 가입 가능성 등으로 제조업과 IT·반도체, 음식료, 소비재 등 IT 및 내수 관련주들이 관심을 받겠다"고 전망했다.

한편 현대·롯데 등 재계는 센토사섬 성명에 일희일비 하는 대신 대북사업 준비에 더욱 고삐를 당기고 있다. 특히 문산~개성~신의주를 잇는 경의선 철도 복원이 일차적으로 추진될 예정으로, 현대아산·삼성물산·대우건설 등 관련 기업들의 태스크포스(TF) 신설 등 움직임이 활발하다. 

bora@seoulwire.com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