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송은정 기자

 

 

[서울와이어 송은정 기자]일본의 경제보복이 연일 핫이슈다.

 

특히나 이번 조치로 인해 한국 경제의 아킬레스건이 여실히 드러나 파장이 크다.

 

일본의 경제 보복으로 한국 반도체 산업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지난 10일 국내 반도체 업계에선 이 같은 말이 흘러나왔다.

 

일본의 대 한국 수출 규제 속에 중국이 어부지리로 반도체 강국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고 본 것이다.

 

설상 가상, 중국의 '인력 빼가기'부터 글로벌 장악력 확대까지 중국의 전기차 배터리 ‘굴기’가 심상치 않다.

 

중국 언론은 이같은 분위기에 대해 한일 갈등을 ‘한일 무역전쟁’으로 표현하면서 “중국이 이 무역전쟁의 수혜자가 될 것이다. 한일 무역전쟁은 경제적, 외교적으로 모두 중국에 좋은 뉴스”라고 지적했다.

 

이어 SCMP는 “한국 반도체 기업의 실적이 부진하면 중국이 정상에 올라갈 기회를 잡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은 첨단 제조업 육성 정책인 ‘중국 제조 2025’에 따라 현재 10% 미만인 반도체 국산화율을 2020년 40%, 2025년 70%까지 높일 계획이다.

 

최근들어 중국의 한국 배터리 인재 빼가기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기존 연봉의 3배 이상을 제시한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여서 국내 업체들은 속수무책이다.

 

중국 반도체 업체 푸젠진화는 지난 4월부터 자사 웹사이트를 통해 ‘D램 연구개발(R&D) 경력사원’ 채용공고를 내면서 ‘10년 이상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한 경험’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또한 최근 세계 1위 배터리 업체인 중국 CATL이 국내 배터리 업체 전문 인력들에 기존 연봉의 3배를 부르며 '러브콜'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도체 등 핵심산업 인력 유출이 전기차 배터리 등으로 확대되고 있어 국내 산업계는 '엎친 데 덮친 격' 이다.
 

반도체나 배터리 등 핵심산업 인력 유출 역시 영업비밀 유출로 이어지며 필요한 정보를 얻게 되면 결국 자리를 잃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으로 수배의 연봉을 부르는 중국 업체들의 오퍼를 무시하기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따라서 현 상황에서 엔지니어 처우 개선 등 보완책이 뒤따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중국 기업들의 연봉 등 대우가 대폭 좋아지면서 이직 사례가 늘 수 밖에 없다.

 

정부는 인력과 기술 유출을 막을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차세대 핵심 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반도체나 전기차 배터리 분야의 경쟁력 약화가 우려되는 사안으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일본의 경제 보복이 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업계뿐 아니라 수소차·배터리·로봇과 같은 미래 산업의 발목도 잡을 뿐더러 오히려 이 사태로 인해 어부지리로 중국에게 모든 것을 빼앗길 수 있다.

 

정부는 국내 산업이 국제 사회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일본과 중국, 양국에 휘둘릴 수 밖에 없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yuniya@seoulwire.com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