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역 8개 자율형사립고에 대한 교육청의 청문을 하루 앞둔 21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서울 자사고 학부모 연합회 집회에서 참석자들이 자사고 지정 취소 등의 내용이 담긴 손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김하성 기자] 서울 소재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재학생과 학부모 등 5천여명(주최 측 추산)은 21일 문화 행사를 열고 자사고 존치를 요구했다.

   

서울 지역 21개 자사고 학부모들이 모여 만든 서울자사고학부모연합회는 이날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제1회 서울 자사고 가족문화 대축제'를 열었다.

   

김철경 자사고교장연합회장(대광고 교장)은 "자사고 학부모들과 학생들이 한자리에 모여 기쁘면서도, 가슴이 찢어질 듯 아프다"며 "자사고는 영원하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서울시교육청의 자사고 운영성과 평가에 따라 자사고 지정취소 결정된 경희·배재·세화·숭문·신일·중앙·이대부고·한대부고 등 8개 자사고 소속 학생 대표들은 차례로 무대에 올라 자사고 존치를 요구했다.

   

서울 세화고 박준혁 학생회장은 "자사고 지정취소에 반대하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며 "교육은 실험 대상이 아니고, 교육감에 따라 교육제도가 바뀐다면 교육의 안정성이 무너질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학교의 주인은 학생인데, 이번 자사고 지정취소는 자사고 학생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채 교육감이 내린 결정"이라며 "지정취소가 취소되고, 세화고도 다시 자사고로 돌아가길 바란다"고 밝혔다.

  
 

반면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서울지부 등 32개 단체가 속한 '서울교육단체협의회'는 논평을 내고 이날 행사가 재지정평가에서 지정취소 결정된 서울 자사고 8곳을 대상으로 22일부터 열리는 서울시교육청 청문에 영향을 주기 위해 열렸다며 비판했다.

   

이들은 "자사고의 일반고 전환은 시대적 흐름이며, 서울시교육청이 청문에서 자사고 재지정취소 결과를 번복할 경우 또 다른 파국이 벌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포털사이트에는 '자사고'뜻에 대해 네티즌들의 관심이 높다.

 

자사고란 자율형사립고등학교의 줄임말로 다양한 교육수요를 수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명박 정부 시절(2010년) 도입한 학교 모델이다. 자사고는 기존의 자립형 사립고보다 학교의 자율성을 더 확대시켰으며 학생의 학교선택권을 다양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됐다.

 

또한 자사고는 정부 지원 없이 등록금과 재단 전입금으로 운영되며, 등록금은 일반고의 3배 수준까지 받을 수 있다. 자사고의 지정은 교육부 장관과 협의해 교육감이 결정하며, 자사고 재지정 취소와 관련, 교육부장관의 동의가 필요하다.

 

앞서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9일 "중앙고 등 8개교는 운영평가 결과 자사고 지정목적 달성이 어렵다고 판단해 지정취소 절차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재 자사고 재지정 평가에서 취소 통보를 받은 학교는 전북 상산고를 포함해, 경기 안산 동산고, 부산 해운대고에 이어 서울 경희·배재·세화·숭문·신일·중앙·이대부고·한대부고 서울 지역 8곳이 추가돼 총 11곳으로 늘어났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