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 이동화 기자] 위안화 환율이 5일 달러당 7위안을 돌파하면서 심리적 마지노선을 넘어섰다. 

미국과의 무역전쟁 장기화로 부진에 빠진 수출 환경을 뒷받침하기 위해 중국 당국이 위안화 가치 하락을 용인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이강(易綱) 중국 인민은행 총재는 “중국은 화폐 가치 절하를 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지만 미국은 환율조작 가능성을 제기하며 비난하고 있다.

5일 인민은행은 달러당 위안화 기준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33% 올린 6.9225위안으로 고시했다. 환율은 통화가치와 반대로 위안화 환율이 올랐다는 것은 위안화의 통화가치 하락을 의미한다. 이후 홍콩 역외 시장에서 위안화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2% 가까이 치솟으면서 달러당 7.1위안을 돌파했다.

역내 위안화 환율이 달러당 7위안을 넘는 ‘포치’(破七)를 기록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중이던 2008년 5월 이후 11년 만이다.

인민은행은 “일방주의와 보호무역주의, 대중 추가관세 영향 등으로 위안화 환율이 7위안을 돌파했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어 “이는 시장의 수급과 국제 환율시장 파동을 반영한 것”이라며 미국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환율 하락 원인은 미국’임을 시사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에서 “중국이 위안화 환율을 역사적 거의 최저 수준으로 떨어뜨렸다”면서 “이는 환율조작”이라고 중국 정부를 비난했다.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정부의 대규모 환율조작 개입을 경고하며 “이는 중국 경제를 크게 약화시킬 중대한 위반”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은 후 3개월도 지나지 않아 이같은 위협 발언이 나왔다고 전했다.

주요 외신은 미국의 추가관세 부과에 중국이 환율 하락으로 맞서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며 미중 갈등이 더욱 심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특히 오는 9월 1일부터 3000억 달러 규모 중국산 수입품에 10%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한 트럼프 행정부가 ‘환율조작국 지정’ 등 또다른 강경 조치를 내놓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6년 대통령 선거에서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미 재무부는 분기별로 발표되는 환율 보고서에서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는 것을 미뤄왔지만 제재 강화의 일환으로 논의될 수 있다는 것. 지난 1994년 클린턴 행정부 당시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된 후 미국 정부가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국가는 없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지난해 7월 이후 미국이 부과한 추가관세 영향을 줄이기 위해 중국이 위안화 약세를 용인하며 수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며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금리인하 압박이 가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일각에서는 위안화 약세는 해외로의 자본 유출 가속을 야기할 수 있어 중국 당국에게도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