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 태극기 게양 시간과 게양법은?/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김하성 기자] 9일  573번째 한글날을 맞아 태극기 게양하는 시간과 방법에 대해 네티즌들의 관심이 높다.

 

행정안전부는 573돌 이날 오전 10시 서울 광화문광장 북측에서 경축식을 개최한다.

 

한글날은 법정 공휴일이자  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과 함께 5대 국경일 가운데 하나다.

 

한글날은 세종대왕 25년 서기 1443년에 완성해 3년 동안의 시험 기간을 거쳐 세종 28년인 서기 1446년에 세상에 반포된 훈민정음(訓民正音) 곧 오늘의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이다.

 

1926년에 음력 9월 29일로 지정된 ‘가갸날’이 그 시초이며 1928년 ‘한글날’로 개칭돼 광복 후 양력 10월 9일로 확정된후 지난 1990년 법정공휴일이 아닌 기념일로 바뀌었으나 2006년부터 국경일로 지정됐다.

 

훈민정음은 국보 제70호로 지정돼있으며 1997년 10월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으로 등록됐다.

 

태극기 게양 방법은 ‘국경일 및 기념일’과 ‘조의를 표하는 날’로 구분되는 데 한글날은 5대 국경일이기에 ‘국경일 및 기념일’에 맞게 태극기를 걸어야 한다.

 

광복절에는 태극기를 달 때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떼지 않고 달아야 한다.

 

주택의 경우 집 밖에서 바라볼때 대문의  중앙이나 왼쪽에,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는 베란다의 왼쪽 또는 중앙에 게양한다.

 

반면 현충일, 국장 기간 등에는 깃면의 너비만큼 내려다는 ‘조기’를 게양한다.

 

태극기 게양 시간은 보통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다만 학교나 군부대에서는 낮동안에만, 동절기(11~2월)에는 오후 5시까지 게양하도록 하고 있다.

 

만일 심한 눈·비와 바람 등으로 태극기 훼손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달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