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안호영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조종사 외국 항공사 이직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올해 7월까지 8개 국적 항공사에서 조종사 460명이 이직한 것으로 집계됐다./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김상준 기자] 5년 7개월 동안 전체 조종사 이직자만 460명이였고,이들 가운데 최소 367명(약 80%)이 중국 항공사에 입사한것으로 알려졌다.

16일  안호영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조종사 외국 항공사 이직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올해 7월까지 8개 국적 항공사에서 조종사 460명이 이직한 것으로 집계됐다.

작년 말 기준 국적 항공사 조종사 수가 6316명인 점을 감안하면 7% 정도의 조종사 인력손실이 생긴 셈이다.

이 기간 항공사별 이직자 수는 △대한항공(172명) △아시아나항공(86명) △에어부산(52명) △진에어(48명)△제주항공(44명)△ 이스타항공(40명) △티웨이항공(14명) △에어서울(4명) 순으로 많았다.

이 가운데 중국 항공사로 대한항공 150명 이상, 아시아나항공 68명, 에어부산 39명 이상, 진에어 37명 이상, 이스타항공 33명 이상, 제주항공 26명 이상, 티웨이항공 12명 이상, 에어서울 2명 이상이 옮긴 것으로 조사됐다.

5년 7개월 동안 전체 조종사 이직자 가운데 최소 367명(약 80%)이 중국 항공사에 재취업한 것이다.

중국 항공사로의 이직은 항공산업의 호황기로 꼽히는 2016년(90명)과 2017년(128명)에 집중됐다.

당시 중국 항공사들은 2억∼3억원대 연봉과 파격적인 복지 혜택을 제시하며 한국인 조종사 모시기 경쟁을 벌였다.

중국이 '조종사 블랙홀'이라는 말까지 나왔다.

또 기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양자 구도에서 진에어·제주항공·에어부산·이스타항공·티웨이항공·에어서울 등의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잇달아 출범하면서 조종사들의 몸값은 더 높아졌다.

여기에 올해 에어로케이, 플라이강원, 에어프레미아 등이 신규 국제항공 운송사업 면허를 발급받으면서 조종사 부족 현상이 심화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안 의원은 "조종사들이 부족하면 빡빡한 일정에 쫓겨 항공기를 운항할 수밖에 없고, 자칫 항공 안정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며 "조종사 부족은 항공사들의 신규노선 개척도 어렵게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국토교통부는 지난해부터 중국 항공사를 비롯한 외항사로의 조종사 이직이 눈에 띄게 줄었고, 국적 항공사의 조종사 수가 매년 늘어 수급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kimsjun@seoulwire.com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