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13 부동산 대책의 영향으로 얼어붙었던 인구이동이 올해 9월에는 종전 수준으로 회복하면서 국내인구 이동자 수가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였다.30일 통계청의 '9월 국내인구이동'에 따르면 지난달 이동자 수는 51만8000명이며 1년 전보다 5만6000명(12.0%) 증가했다./사진=김상준 기자

 

[서울와이어 김상준 기자] 지난해 9·13 부동산 대책의 영향으로 얼어붙었던 인구이동이 지난 9월에는 종전 수준으로 회복하면서 국내인구 이동자 수가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였다.

30일 통계청의 '9월 국내인구이동'에 따르면 지난달 이동자 수는 51만8000명이며 1년 전보다 5만6000명(12.0%) 증가했다.

인구 100명 당 이동자 수를 따진 인구이동률은 12.3%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포인트 늘었다.

시도 내 이동자 비중의 전체의 67.0%, 시도 간 이동은 33.0%였다.

지난달 기준 국내 이동자 수가 두 자릿수 증가한 것은 2014년 9월(16.6%) 이후 5년 만의 일이다.

가장 큰 배경으로는 지난해 9월 이동자 수가 21.8% 급감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꼽힌다.

당시 9·13 부동산 대책 발표 영향으로 주택 매매가 줄어들었고 추석 연휴가 9월로 당겨지면서 인구이동자 수 감소율이 지난 1988년 9월(27.4%) 이후 30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이 영향 속에 지난 2017년 9월 59만1000명이었던 인구이동자 수가 2018년 9월 46만2000명으로 고꾸라졌다가 올해 9월 다시 51만8000명으로 회복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기저효과가 작용했고 지난달 이동자 수가 12.0% 증가했는데 같은 기간 전·월세 거래 역시 16.4% 증가했다"며 "(올해 9월은) 특별한 요인 없이 아파트 입주 등에 따라 인구가 움직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시도별로는 서울에서 5466명이 순유출됐다.

그 규모는 동월 기준으로 2008년 9월(5216명) 이후 가장 작았고 이외 특별·광역시 가운데 순유입 현상이 관찰된 곳은 광주(78명)와 세종(1481명) 두 곳이었다.

세종은 2012년 1월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꾸준히 순유입세를 유지하고 있다.

대구에서는 1481명이 순유출됐고 부산(1390명), 대전(1009명), 울산(633명), 인천(167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전출자 대비 전입자 수가 가장 많은 시도는 경기로, 지난달 총 1만1149명이 순유입했다.

충남의 순유출 규모는 79명으로 2002년 9월(938명) 이후 가장 컸다.

전북의 경우 714명이 순유출된 것으로 나타나 2006년 9월(1014명) 이후 가장 큰 폭을 기록했다.
이동률로 보면 세종의 순이동률이 5.4%, 경기와 강원이 각각 1.0%, 0.2%였다.

3분기 이동자 수는 164만7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만4000명(1.5%) 증가했고 이동률은 0.2%포인트 증가한 12.7%였다.

10세 미만은 8000명 줄어든 14만2000명, 10대는 1000명 줄어든 12만6000명이 이동했다.

전년 동기 대비 이동률은 10세 미만과 50대, 6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증가했고 특히 20대 이동률이 1.2%포인트 늘어난 21.3%였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