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 염보라 기자] 금융전문가들이 1년 이내에 현재화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 미·중 무역분쟁, 경기 둔화 지속 등을 꼽았다.

한국은행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과 발생 가능성 등에 대해 국내 금융기관 임직원, 금융업권별 협회 및 금융‧경제 연구소 직원, 대학 교수 및 해외 금융기관 한국투자 담당자 총 9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9일 밝혔다.

서베이 결과 전체 응답자의 50% 이상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미·중 무역분쟁, 국내 경기 둔화 지속을 답변했다.

단순 응답빈도수 기준(응답자들이 선정한 5개 리스크 요인을 단순 집계)으로는 미·중 무역분쟁(74%), 국내 경기 둔화 지속(52%), 글로벌 경기 둔화(40%), 가계부채 문제(40%), 중국 금융·경제 불안(39%) 등 순으로 조사됐다.

1순위 응답빈도수 기준으로는 미·중 무역분쟁(39%), 국내 경기 둔화 지속(21%), 글로벌 경기 둔화(9%), 수출 감소 등 기업실적 둔화(5%)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미·중 무역분쟁, 국내 경기 둔화 지속, 글로벌 경기 둔화는 대체로 단기(1년 이내)에, 가계부채 문제, 중국 금융·경제 불안은 중기(1~3년)에 현재화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 응답됐다.

발생 가능성을 살펴보면 국내 경기 둔화 지속, 미·중 무역분쟁은 발생 가능성이 높은 리스크 요인으로, 글로벌 경기 둔화, 중국 금융·경제 불안, 가계부채 문제는 발생 가능성이 중간 정도인 리스크 요인으로 인식됐다.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이 비교적 큰 리스크로는 미·중 무역분쟁, 국내 경기 둔화 지속을 꼽았다.

지난 5월 발표한 조사 결과와 비교해 보면 미·중 무역분쟁에 대한 응답비중은 67%에서 74%로 상승했고 국내 경기 둔화 지속은 66%에서 52%로 하락했다. 이밖에 글로벌 경기 둔화, 중국 금융·경제 불안이 새로운 리스크 요인으로 추가됐다.
 

금융시스템 리스크 평가의 경우 단기(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현재화될 가능성은 지난 서베이
시점에 이어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높다'로 응답한 비율이 4%에서 13%로 상승했으나 '낮다'는 응답비율도 52%에서 53%로 소폭 상승하며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중기(1~3년)에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현재화될 가능성은 같은 기간 소폭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높다'로 응답한 비율이 34%에서 26%로 하락한 가운데 '낮다'는 응답 비율은 24%에서 28%로 소폭 상승했다.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향후 3년간)는 지난 서베이 시점보다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높다'는 응답비율은 50%에서 55%로 상승하고 '보통' 및 '낮다'는 응답 비율이 각각 44%에서 41%로, 6%에서 4%로 하락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