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사진=이현영 기자)

 

[서울와이어 염보라 기자] 올해 210개 기업이 '부실 징후' 기업으로 선정됐다.
 

대기업에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중소기업에서 부실 징후 기업 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금융감독원이 12일 발표한 '2019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 및 향후 계획' 자료에 따르면 채권은행은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통해 210개사를 부실 징후 기업으로 선정했다. 지난해보다 20개사가 늘어난 규모다.
 

C등급이 59개사, D등급이 151개사다. 이들 기업은 워크아웃이나 회생절차 등 구조조정 대상이 된다. 
 

201개의 부실 징후 기업 중 대기업은 9곳에 불과했으며 나머지는 신용공여 500억원 미만의 중소기업이었다.
 

부실 징후 대기업은 주요 업종의 구조조정이 마무리 되면서 지난해 10개사에서 올해 9개사로 소폭 감소했다.
 

반면 부실 징후 중소기업은 180곳에서 201곳으로 크게 늘었다. 중소기업들의 실적이 소폭 하락한 가운데 세부 평가 대상 기업 수가 전년 대비 387개사나 늘어난 영향이다.
 

업종별로는 기계장비(35개사), 부동산(19개사), 자동차부품(17개사), 금속가공(17개사), 도매·상품중개(14개사) 등 순으로 부실 징후 기업 수가 많았다.
 

전년 대비로는 기계 맟 장비 제조업(+15개사)이 크게 증가했고, 부동산(+5개사), 자동차부품(+3개사), 건설(+3개사), 전자(+1개사) 등 업종도 소폭 증가했다.
 

반면 조선(-7개사), 금속가공(-5개사), 철강(-5개사), 도매․상품중개(-4개사) 업종은 전년 대비 감소세를 나타냈다.
 

부실 징후 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신용공여액은 3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은행권이 2조4000억원으로 대부분(72.7%)을 차지했다.
 

금감원은 부실 징후 기업 여신에 대한 자산 건전성을 재분류할 경우 은행권의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예상액은 약 1735억원 수준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국내 은행의 손실 흡수 능력 등을 감안 시 (부실 징후 기업 수 증가가)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금융당국은 부실징후기업(C·D등급)으로 선정된 기업들에 대해 워크아웃, 회생절차 등을 통해 신속한 경영 정상화 또는 부실정리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

금감원은 "일시적으로 경영 애로를 겪고 있는 기업에 대해서는 위기 극복, 경영 정상화를 적극 지원토록 유도하고 기업의 조속한 경쟁력 회복을 위해 채권은행 등이 유동성지원, 경영애로 상담 및 컨설팅 등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