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연합뉴스DB

 

[서울와이어 한보라 기자] IBK기업은행이 기약없는 직무대행체제에 돌입한다. 이번 체제는 임상현 수석부행장(전무)가 핸들을 쥔다.

 

지난 27일 임기를 마친 김도진 행장 퇴임 이후 내정된 반장식 전 청와대 일자리 수석에 대한 임명이 어려워진데 따른 것이다. 중소기업은행법에 따르면 부득이한 사유로 기업은행의 후임 행장이 정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수석부행장이 직무대행을 도맡게 된다.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장 선임은 금융위원장 제청과 청와대 검증절차를 거쳐 대통령 임명으로 이뤄진다. 앞서 청와대는 기업은행장 후보 인사 중 반 전 수석을 차기 행장으로 낙점했다.

 

그러나 노조의 ‘낙하산 인사 반대’ 대규모 투쟁이 이어지며 청와대의 고심이 거듭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노조는 “반 전 수석과 더불어 윤종원 전 청와대 경제수석 모두 함량 미달의 보은인사”라며 지난 2010년 조준희 전 행장을 시작으로 이어져 온 내부 승진 전통을 깰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기업은행의 차기 행장 발표는 29일인 오늘까지도 명확한 발표없이 안갯속을 헤매고 있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노조의 입장을 반영해 내부 승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평이나 깜짝 외부인사로 현재 한‧미 방위비 협상을 진행중인 정은보 협상대표가 선임될 것이라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내부인사 선임으로 인해 발생한 파벌 문제 때문이다. 이점을 고려하면 윤 전 수석을 비롯해 하마평에 올랐던 금융전문가들이 후보로 다시 거론될 가능성도 없지않다.

 

문제는 행장 공백에서 끝나지 않는다. 현재 기업은행은 행장 선임 연기와 함께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내부인사 임기만료가 꼬이며 정상적인 영업이 어려운 상황이다.

 

기업은행 내부에서는 직무대행을 맡고 있는 임 전무를 비롯해 3명의 부행장이 내년 1월 중으로 임기가 끝날 예정이다. 계열사 CEO 중에서는 이미 IBK연금보험 장주성 대표, IBK시스템 서형근 대표, IBK투자증권 김영규 대표 등의 임기가 만료됐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