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전경/사진=김상준 기자

 

[서울와이어 김상준 기자] 올해 마지막 달인 12월 '서울 아파트값'이 작년 9·13대책과 강력한 규제에도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아울러 전국의 아파트값도 4년여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31일 한국감정원 조사에 따르면 이달 서울 아파트값은 전월 대비 1.24% 올랐다. 작년 9월(1.84%) 이후 월간 단위로 1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이다.
 

분양가 상한제 시행 이후 공급 부족 우려가 확산하며 새 아파트는 물론 재건축 대상까지 강세를 보인 영향이다.다만 이번 조사는 지난 11월12일부터 12월9일까지의 시세변동이어서 16일 이후 발표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과 공시가격 신뢰성 제고 방안 등의 규제 효과는 가격에 반영되지 않았다.
 

12·16대책 발표 이후 한동안 관망하던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은 지난 주말부터 최고 2억∼3억원 이상 떨어지는 급매물이 나오는 등 상승세가 크게 둔화했다.
 

경기도는 과천·광명·하남·성남 등지의 아파트값이 강세를 보이면서 한 달 새 0.68% 뛰었다. 이는 2015년 4월(0.83%) 이후 4년8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최근 조정대상지역 해제로 장기간 하락세였던 고양·일산 등지의 아파트값도 지난달부터 강세로 돌아서는 등 서울지역 상승세가 경기 일원으로 확산한 모습이다.
 

12월 전국의 아파트값도 지난달보다 0.51% 오르며 2015년 6월(0.53%) 이후 4년 반 만에 최대 상승했다.
 

강남구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최고 2억 ~ 3억원 내린 매물이 등장했다. 분양가 상한제 시행, 대출 중단에 이어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이하 재초환) 합헌 결정까지 '트리플 압박'이 겹치며 가격이 하락한 것이다.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의 경우 12·16대책 이전만 해도 1층 시세가 21억8000만원이던 전용 76.49㎡는 19억7000만∼19억8000만원에 매물이 나왔다.

광역시·도에서는 정비사업 호재가 있는 대전이 한 달 만에 무려 1.43% 올라 서울 상승폭을 뛰어넘었고, 새 아파트가 많은 세종도 1.02% 급등했다.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된 부산 역시 0.55%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올해 연간 누적 아파트값은 서울이 1.11% 올랐고 전국은 1.42%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값이 8.03%, 전국이 0.09% 오른 것과 비교해 서울은 작년보다 상승폭이 크게 둔화했고, 전국은 2012년(-2.13%) 이후 7년 만에 하락 전환한 것이다.

아파트와 단독·연립주택을 모두 포함한 전국의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12월 기준 0.38% 올랐다. 2015년 6월(0.38%) 이후 4년 반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서울의 집값은 전국의 2배가 넘는 0.86% 상승했다.
 

구별로 강남구가 학군 수요, 삼성동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개발 호재 등으로 무려 2.24%나 뛰었고 송파구도 1.72%, 강동구 1.70%, 서초구가 1.56%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양천구도 교육제도 개편으로 학군 수요가 몰리며 1.51% 상승했다.강북에서는 성동구(0.68%) 왕십리뉴타운, 마포구(0.68%) 공덕·도화·상암동, 강북구(0.49%) 미아뉴타운 등 정비사업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이 많이 올랐다.
 

주택 전셋값은 전국이 지난달 대비 0.22%, 서울이 0.38% 상승했다.

서울의 경우 정시확대 등 교육제도 개편, 입주물량 일시적 감소 등으로 학군 인기지역인 강남(1.05%)·양천(0.78%)·서초구(0.57%) 등에서 전셋값이 급등했다.
 

이달 초까지 강남권과 양천구에서는 전세물건이 부족해 나오기가 무섭게 계약이 이뤄졌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의 설명이다. 일각에서는 올해 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가 크게 오르면서 보유세 인상분을 전월세 가격에 전가하는 모습도 포착되고 있다.

이 가운데서도 아파트 전셋값은 전국이 0.35%, 서울이 0.58% 뛰며 더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