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수 기자

[서울와이어 김민수 기자] "라임 사태는 국내 금융 역사상 희대의 사건으로 남지 않을까 싶다"

 

2015년 12월 금융위원회에 등록을 시작으로 국내 다른 펀드들보다 높은 수익률을 내세워 급속한 성장을 이룬 라임자산운용은 작년 10월 6200억원 규모의 펀드 자금을 환매 중단하기로 발표하며 파문을 일으켰다.

 

이어 작년 11월 코스닥 상장사 리드에서 800억원대 횡령 사건으로 검찰 수사를 받던 라임 부사장이 영장실질심사에 불응한 채 잠적했고 라임 무역금융펀드의 투자처인 미국 헤지펀드 운용사가 헤지펀드 손실을 숨긴 채 가짜 대출채권을 판매하는 등 증권사기 혐의로 자산 동결 등의 제재를 받은 사실이 확인되며 라임을 둘러싼 의혹과 불안감이 커졌다.

 

이번 라임 사태의 가장 큰 문제는 단기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부실 자산을 대량 매입하고 이 과정에서 규정 회피를 위해 타사 명의를 이용했다는 사실과 손실의 '돌려막기'로 수익률을 조작해 여러 펀드를 운용해왔다는 것이다.

 

또 라임의 불투명한 펀드 운용 방식에도 주요 은행과 증권사 등 판매망 확보를 할 수 있었던 점도 의심해봐야 한다.

 

현재까지 연기된 모펀드 4개와 관련 자펀드 173개의 산술적 합산 설정액 총액은 1조8000억원을 넘어선다. 이에 대해 라임 관계자는 자펀드 중 일부는 모펀드와 관련 없는 자산도 담고 있어 이미 일부 액수를 환매했고 현재 남은 환매 연기 대상 금액은 총 1조6679억원이라고 전했다.

 

여기서 중요한건 피해액 대부분이 금융 지식이 적은 개인 투자자들이란 것과 판매과정에서 불완전 판매가 의심되는 상황들이 계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는 점이다.

 

더불어 사모펀드 관련 규제를 완화해주면서도 불법 행위 처벌 강화 등의 대비책 미비와 운용사, 판매사에 대한 관리·감독 소홀이 지적됨에 금융당국의 책임론도 제기돼 금융권 전반의 신뢰도에 큰 타격을 주고 있는 것 또한 심각한 문제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회사 측의 방만한 운용과 의도적인 수익률 부풀리기, 투자자 기만 이라며 "금융당국은 무책임 그 자체이다"라는 원성도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 16일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라임 펀드 환매 중단 사태와 관련해 "(삼일회계볍인의) 실사하는 과정이 생각보다 길어져 결과가 1월 말이나 2월 초쯤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은 위원장은 "(펀드) 상환 계획과 대책이 무엇이냐는 얘기가 있는데 거기(실사)까지를 해야 완결성이 있다"며 "완결성을 갖추고자 해서 늦어진 것이지 우리(금융당국)가 방치하거나 숨기지는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번 라임 사태가 국내 금융 역사상 희대의 사기극으로 오점을 남기게 되지 않을까 우려가 깊어지는 상황에서 조속하고 투명한 금융당국의 조사와 대책 마련이 시급히 이뤄져야 할 것이며 이후 ‘망우보뢰(亡牛補牢)’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