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사진=이현영 기자)

 

[서울와이어 염보라 기자] 새해를 맞아 금융권이 '소비자 보호'에 방점을 찍은 조직 개편안을 연이어 내놓고 있다.

한 여름 간담을 서늘하게 한 해외 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와 라임자산운용의 펀드 환매 중단 사태가 연이어 터지면서 소비자 보호의 중요성이 금융권 화두로 떠오른 영향이다.

설 연휴를 하루 앞둔 23일 금융감독원은 금융소비자보호처 부문을 소비자 피해 예방과 소비자 권익 보호 부문으로 확대 재편하는 내용의 조직 개편을 발표했다. 사전·사후에 걸쳐 관리·감독하겠다는 선전포고다.

관련 부서는 기존 6개 부서, 26개 팀에서 13개 부서, 40개 팀으로 거의 두배 확대됐다.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주요 민원·분쟁에 대한 현장 조사 및 합동 검사 기능을 신설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민원이나 분쟁이 많을 수밖에 없는 대형 금융사들과의 마찰도 예상되고 있다.

피감기관들도 올해 목표로 연이어 소비자 보호를 외치고 있다.

DLF 사태로 신뢰를 잃은 시중은행들은 일찍이 지난해 말부터 소비자 보호 강화를 약속했다. KEB하나은행은 지난해 말 조직 개편을 통해 소비자보호그룹장이 겸직하던 손님행복본부장을 분리하고, 투자상품서비스(IPS)본부를 신설해 투자 적합성 검증력을 강화했다.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은 소비자 보호 관련 전담 조직을 새로 만들었다. 우리은행도 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한 조직 개편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 말까지 은행장 최종 후보를 추천한다는 계획인 만큼, 이후 인사와 조직 개편 작업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증권업계 신년 조직 개편의 핵심도 소비자 보호다. 기존에 홍보 임원이나 준법감사인이 겸직했던 CCO(최고 고객 책임자)를 독립 선임하며 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한 결심을 다지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최근 조직 개편에서 금융소비자보호본부를 신설하고 CCO를 선임했으며, NH투자증권 역시 대표이사 산하 직속 부서로 금융소비자보호본부를 두고 CCO 겸 금융소비자보호본부장를 내세웠다. 하나금융투자도 기존에 겸직 체제로 운영하던 준법감시인과 CCO를 분리해 소비자 보호를 강화했다. 

미래에셋대우는 일찍이 지난달 조직 개편을 통해 금융소비자보호팀을 본부로 승격하고 독립 CCO를 선임했다. 이밖에 한화손해보험, 메트라이프생명 등도 지난해 말 CCO 독립 선임을 추진한 상태다.

보험·카드사 등도 CCO 독립 선임을 준비, 추진하고 있다. 금융위원회가 지난해 7월 예고한 '금융소비자 보호 모범규준 개정 추진안' 때문이다. 해당 안에 따르면 자산 10조원 이상의 은행·증권·보험사, 5조원 이상의 카드·저축은행은 CCO를 독립 선언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