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이현영기자

 

[서울와이어 이현영 기자] 정부가 일본·코로나19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저비용 항공사(LCC)들에 최대 3000억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3개월 간 공항사용료와 각종 과징금 납부가 유예된다. 위축된 중화권 수요를 대신할 대체 노선을 확보하기 위해 프랑스 파리, 헝가리, 포르투갈 등 중·장거리 운수권을 2월 말 배분한다. 

 

하지만 국적 FSC인 아시아나 항공이나 대한항공에는 아무런 지원책이 따르지 않고 있어 형평성 관련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영업 부진을 겪고 있는 LCC 업계에 대한 긴급 지원 방안을 지난 17일 발표했다. 반일불매운동·홍콩 민주화 운동에 이어 코로나-19로 인해 경영난을 겪고 있는 업계가 1년새 1년새 고사 직전에 놓이게 됐기 때문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일시적으로 유동성 부족을 겪는 LCC에 대해 최대 3000억원 범위 내에서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대출 형식으로 유동성을 적시에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언급하는 3000억원은 LCC 업계 전체를 대상으로 한다. △에어부산(505억원) △진에어(491억원) △제주항공(347억원) △티웨이항공(206억원) 등이다.

 

그러나 대출금을 받는데 필요한 심사기간이 약 3개월 가량 소요될 것으로 보여 정책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 12일 제주항공이 위기경영체제에 돌입한다고 밝힌 이후 지난 18일 아시아나항공이 비상경영을 선포한 데 이어 이스타항공도 19일 근무 시간 단축제 등을 시행하고 경영진이 임금을 반납하는 등 비상 조치를 시행했다.

아시아나항공의 경우엔 더욱 심각하다. 이 회사의 경우 작년 영업 적자가 3683억원에 달한다.

 

아시아나항공 한창수 사장은 담화문을 통해 “막대한 영업적자를 기록할 위기상황에 직면”했다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사적 차원의 대책 수립과 시행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아시아나항공의 모든 임원진은 고통분담을 위해 30% 급여를 반납하고 사장은 40%를 반납한다. 조직장들도 20%의 급여를 반납하면서 고통분담에 동참하면서 위기극복을 위해 경영진이 솔선수범하겠다는 취지다.

 

LCC 업계 전체 영업 손실액보다 큰 규모다. 그러나 정부는 대형 항공사의 경우 지원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정부 정책 형평성이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이는 대목이다.

 

국토부의 3000억원 긴급 수혈, 의도는 좋아보이나 LCC보다 경영이 더 심각한 아시아나 항공의 비난을 피하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정책 형평성이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이며 얼어붙은 항공여객 수요에는 여전히 속수무책으로 보인다. 

당장 급한 재정문제 해소에 통용될 금융지원금 외에 운항노선 감소로 무급휴가에 들어간 승무원과 직원들의 지원책이 강구돼야 할것으로 지적된다. 직격탄을 맞고 있는 항공업계에 대한 정부의 세심한 배려가 절실해 보인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