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서울와이어 한보라 기자] 오는 27일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앞두고 한국은행이 ‘금리인하’ 카드를 꺼내들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만약 금리인하가 단행될 경우 우리나라는 최초로 연 1.00% 시대에 접어들게 된다.

 

24일 이주열 한은 총재는 오후 3시 금융시장 점검을 위한 긴급간부회의를 소집한다. 코로나19에 관련된 위기 경보가 ‘심각’으로 격상된데 따른 것으로 이 총재는 당초 25일 귀국 예정이었던 해외 출장 일정을 이틀 앞당겨 23일 회국(回國)했다.

 

앞서 이 총재는 2월 금통위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 “금리 인하의 경우 효과도 부작용도 큰 정책이기 때문에 신중한 입장을 고수할 것”이라고 일축한 바 있다. 코로나19 사태와 관련된 명확한 지표 없이는 결정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윤면식 한은 부총재 또한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이나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당시 단행했던 기준금리 인하 조치는 “당시 사스나 메르스만 두고 기준금리 인하를 결정하지 않았다”며 “기저에 흐르는 경제와 물가, 금융안정 상황을 고려한 결과”라고 미온적인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 확산이 가속화되며 한은의 금리인하 가능성을 배제할 수만은 없게 됐다. 이날 오전을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763명까지 늘어난 데다 당초 완만하리라 예상했던 경제성장에 대한 전망도 불확실해졌기 때문이다.

 

지난 23일 기준으로 세계 3대 신용평가사 중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무디스는 국내 성장률 전망치를 예상했던 것에서 각각 0.5%p, 0.3%p 하향 조정했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또한 “코로나19 사태가 1분기에 종식된다면 국내 경제성장률은 0.3%p 하락할 것”이라고 예단했다.

 

다만 이번 회의에서는 금리동결 관측이 우세한 편이다. 사상 최저금리가 주는 부담과 금리인하에 따른 부동산 과열은 금리인하에 부담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앞서 1월 금통위 회의에서 위원들은 수도권 지역 주택가격 상승 기조에 대해 주택관련 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부채와 시중 유동성 증가세가 늘어났다며 금융안정을 위해 해당 부문을 유의해 다뤄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당시 업계 내부에서는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금통위의 기준금리 동결에 상당수 영향을 끼친 것으로 살폈다. 금리가 추가 인하될 경우 집값 상승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이에 따른 파장을 고려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