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래산업과 첨단기술 육성을 위해 데이터(Data)·네트워크(Network)·인공지능(AI) 등 이른바 'DNA' 산업에 3조1000억원을 투입한다./사진=김용지 기자
정부가 미래산업과 첨단기술 육성을 위해 데이터(Data)·네트워크(Network)·인공지능(AI) 등 이른바 'DNA' 산업에 3조1000억원을 투입한다./사진=김용지 기자

 

[서울와이어 전지수 기자] 정부가 데이터(Data)·네트워크(Network)·인공지능(AI) 등 3조1000억원을 투입해 이른바 DNA 미래산업을 집중 육성한다.

 

정부는 1일 내년 예산안을 발표하고, DNA 산업 육성 예산은 올해 1조9000억원에서 내년 3조1000억원으로 총 1조2000억원 증액했다고 밝혔다.

 

데이터 구축·개방·활용 등 전(全)주기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한 예산은 8000억원에서 1조5000억원으로 증액됐다.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에 2925억원, 공공데이터 개방에 1997억원이 편성됐다. 新서비스 창출에 필수적인 AI학습용 데이터를 구축하고,  민간의 활용가능성이 높은 공공데이터를 개방한다. 도서관·박물관 등의 지식자원을 디지털DB로 전환해 언제 어디서나 연계·검색·활용하는 '디지털집현전'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5G 조기 확산과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5G 기반 융합서비스 및 실감콘텐츠 개발 지원에는 9000억원이 투입된다.

 

이를 통해 안전·보건 등 공공분야에 40억 원을 투입해 5G 융합서비스를 선도 적용한다. 205억 원을 편성해 스마트 오피스 구현을 위한 5G 국가망도 단계적으로 구축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사진=기획재정부 자료 캡쳐
사진=기획재정부 자료 캡쳐

 

AI 핵심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1·2·3차 산업 혁신을 뒷받침하기 위한 AI 기술의 도입과 융합을 지원한다. 연구분야인 R&D 예산은 올해 24조2000억원에서 3조원 늘어난 27조2000억원으로 편성했다.

 

한국판 뉴딜(1조9000억원)과 소재·부품·장비(2조2000억원), 시스템반도체·미래차·바이오헬스 등 '빅3'(2조3000억원), 기초원천 R&D(7조3000억원), 인재양성(3000억원) 등 5대 분야에 주요 R&D 투자의 70%를 집중할 방침이다.

 

AI와 소프트웨어 등 분야 전문가, 실전형 인재 등 혁신인재 양성에도 적극 투자한다. 디지털분야 고등인재 2만명 양성을 목표로 대학 간 융합교육과정을 공동 설계·공유하는 '디지털융합 가상캠퍼스'를 신설한다. 산학연 교육훈련 자원 공유 등을 통해 현장에 바로 투입 가능한 실전형 전문인재 6만3000명을 육성할 계획이다.

 

디지털·그린 뉴딜 분야의 신산업, 벤처창업 등을 지원할 투자·보증·융자 등 혁신모험자금 7조원을 공급하기 위해 재정 2조1000억원을 투입하는 등 혁신금융을 추진한다.

 

표=기획재정부 자료
표=기획재정부 자료

 

특히 정부는 대한민국 대전환을 위한 한국판 뉴딜에 21조 3000억원 투자하며 디지털 뉴딜 7조9000억원을 편성했다.

 

▲데이터 댐 구축 ▲全산업의 5GㆍAI 융합 확산 ▲지능형 정부 구현 ▲K-사이버 방역체계 구축 등 D.N.A 생태계 강화에 5조 4000억원이 편성됐다.

 

초중고ㆍ대학ㆍ직업훈련기관의 온ㆍ오프라인 융합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AI학습용 데이터 150종 구축 ▲4.4만개 공공데이터 개방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6000개) ▲디지털콘텐츠 제작 지원, 57개 비대면 공공정보시스템을 구축한다. 또, 초중고ㆍ대학ㆍ직업훈련기관의 온ㆍ오프라인 융합학습 환경 조성을 위한 디지털 교육 인프라 구축 및 콘텐츠 확충에 1000억 원을 투입한다.

 

의료ㆍ돌봄ㆍ근무ㆍ비즈니스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를 중심으로 비대면 서비스ㆍ산업 육성에는 5000억원을 편성했다. ▲호흡기전담 클리닉 1000개소 확대 ▲비대면 헬스케어 9만명 지원 ▲8만개 중소기업 원격근무 지원을 위한 바우처 지원 ▲스마트상점 2.3만개 보급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 핵심 인프라 디지털 관리체계 구축, 도시ㆍ산단의 공간 디지털 혁신, 스마트 물류체계 구축 등을 통해 SOC 디지털화에 1조 9000억원을 배정했다. ▲국가하천 1218개소 수문 원격제어장치 설치 ▲스마트시티 기술을 27개 도시에 적용 ▲중소기업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3개소 확충을 실현해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예산안을 발표하면서 "이제까지 추진해 온 위기극복 대책, 경기회복 대책들을 최근 방역상황에 맞게 조정하여 수미일관 추진하고, 아울러 더 힘든 계층·취약한 부문의 추가적인 피해에 대한 대비하고 지원 사각지대를 보강하기 위한 추가대책도 지속적으로 강구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