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폭탄→보복관세를 거듭하며 무역전쟁을 벌이던 미국과 중국이 7일 베이징에서 차관급 무역협상에 돌입한 가운데 한·중·일 경영자의 70~80%는 미중 무역전쟁이 자사의 비즈니스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와이어 이동화 기자] 미국과 중국이 무역 갈등으로 상호 보복관세를 부과하면서 양국의 교역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양대 경제대국의 교역량 둔화는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는 물론 글로벌 시장 수급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경제계의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

 

7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 규모는 2009년 리먼쇼크 직후와 위안화 쇼크 이듬해인 2016년을 제외하면 통계가 시작된 1986년 이후 계속해서 증가해 왔지만 최근 들어 감소세로 돌아섰다고 전했다.

 

지난해 미국과 중국은 각각 3%대, 6%대의 고성장을 유지했다. 중국의 대미 수출 역시 증가했지만 추가관세 대상 품목만을 놓고 보면 사정은 다르다. 산업용 로봇 등 대미 추가관세 부과 대상 품목의 경우 이미 50% 이상 줄어들었고 대두(콩) 등 미국의 핵심 대중 수출품목 역시 약 40%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산업용 로봇의 경우 1차 추가관세(340억 달러 규모)가 부과된 지난해 7월 35% 줄어든데 이어 2차(160억 달러 규모) 추가관세가 발동된 10월에는 수출이 68% 감소했다.

 

미국의 대중 수출은 상황이 더 심각하다.

 

지난해 말 화웨이 사건으로 양국의 갈등이 최고조에 달한 후 무역협상과 화웨이 건을 분리해 대응하는 ‘투트랙’을 택하면서 중국은 미국산 대두와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을 재개하기 위한 준비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미 조사회사 트레이드 파트너십은 중국의 대미 보복관세 대상 품목은 지난해 7월에 마이너스로 돌아선 뒤 감소폭이 확대되며 10월에는 42% 줄었다고 분석했다. 미국의 대중 수출량의 70%를 차지하는 대두나 LNG가 조달처를 변경하기 쉽기 때문이다.

 

지난해 6월 63만 톤(2억7600만 달러 규모)이 수입됐던 미국산 대두는 7월 보복관세 부과 후 계속 줄어들다 11월에는 제로(0)가 됐다. 전기자동차(EV) 역시 6월 1549대(1억1000만 달러 규모)에서 10월에는 2대(8만 달러 규모)만 수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니혼게이자이는 대중 무역 의존도가 높은 일본과 한국에서도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면서 일본 공작기계 산업의 경우 지난해 11월 대중 수출물량이 전년동월 대비 67% 줄었다고 전했다. 특히 대미 수출길이 막힌 중국의 값싼 공산품들이 아시아 시장으로 유입되면서 시장 수급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발 무역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중국은 물론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주요국 경영자들은 올해 경제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와 중국 환구시보, 매일경제신문이 공동으로 실시한 ‘한·중·일 경영자 설문’ 결과에 따르면 70~80%의 경영자는 “미중 무역전쟁이 자사의 비즈니스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불안감을 표했다.

 

지난해 11월 27일부터 12월 13일까지 한·중·일 각각 100여개 기업 경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앙케이트 결과 중국 기업의 73%, 일본은 79%가 무역전쟁 파급을 우려했다. 한국의 경우 81%로 10개사 중 8개사가 불안감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전쟁 당사국인 중국 경영자의 59%는 향후 생산지 변경 등 글로벌 전략 수정을 고려하고 있으며 33%가 대미 투자를 전년 대비 줄이겠다고 답했다. 일본 역시 올해 중국 투자를 늘리겠다고 답한 기업은 14%에 불과했고 미국 투자 역시 17%만 확대를 예상하는 등 투자 의욕이 저하하고 있다.

 

한편 관세폭탄→보복관세를 거듭하며 무역전쟁을 벌이던 미국과 중국이 7일 베이징에서 본격적인 무역협상에 돌입한 가운데 시장은 협상 결과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미중 정상회담 후 처음으로 직접 협상에 나선 양국은 8일까지 열리는 미중 차관급 무역협상에서 중국의 미국산 농산물과 에너지 수입 확대 등을 논의할 전망이다.

 

미국은 양국 정상이 합의한 90일 협상 시한인 3월 1일까지 협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중국에서 수입되는 2000억 달러 규모 품목에 대한 추가관세를 10%에서 25%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