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미늄 가격 13년만의 최고치… 톤당 351만원
핵심자원 글로벌 전략무기화...제2 요소수사태 가능성

글로벌 원자재가격 급등에 국내 산업계는 물론 소비자 물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대책 마련 필요성이 강조된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서 비롯된 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원자재값을 끝없이 밀어올리고 있다.

경제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 주요국의 핵심 원자재 무기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원자재값 상승은 국내 제조업체의 생산 비용 증가로 이어지고 결국은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연결된다. 특히 전기차에 사용되는 리튬·니켈·코발트·알루미늄 등의 가격이 치솟으면서 자동차업계 등 산업 전반의 부담이 가중하고 있다. 

10일 한국자원정보서비스(KOMIS)에 따르면 주요 광물과 원자재 가격은 급등세를 보인다. 지난달 말 기준 알루미늄 가격은 지난 2008년 이후 최고가인 톤당 3000달러(약 351만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탄산리튬은 톤당 3만2800달러(약 3800만원)까지 상승했다. 

코발트 가격은 전년 대비 68.58% 올랐다. 지난해 톤당 3만7000달러(약 4300만원)에 서 최근 5만9000달러(약 7000만원)까지 급등했다. 니켈 평균 가격도 톤당 1만8170달러(약 2100만원) 로 지난해 1만3789달러(약 1600만원) 대비 31.8% 치솟았다.

급격한 오름세를 보이는 원자재 가격과 더불어 핵심 원자재 수입 의존에 대한 불안감이 국내 산업계를 옥죄고 있다. 핵심 원자재의 경우 해외 수입 비중이 높아 ‘제2 요소수 사태’도 우려된다.

특히 마그네슘은 자동차 무게를 줄이는 데 사용되는 핵심 재료이다. 자칫 중국에서 요소수처럼 수출 제한에 나설 경우 마그네슘 부족으로 완성차업계가 부품 조달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한국무역협회는 지난  9일 이 같은 상황을 보여주는 자료를 발표했다. 실제 마그네슘의 경우 전량 중국 수입에 의존한다. 또한 자동차부터 배터리와 반도체 등 국내 핵심 수출품 생산에 필수적인 원자재의 80%는 중국에서 수입된다. 

핵심 품목에 대한 추가적 제한 조치에 대한 우려로 산업계의 긴장감이 증폭되고 있다. 원자재 가격 상승은 기업의 연간 영업이익률 감소로 이어지고, 소비자물가를 끌어올리면서 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에서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이 기업 채산성 등 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업의 영업이익률은 연간 1.8%포인트 감소하고 소비자물가는 1.6%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대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전날 국무회의에서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품목까지 범위를 넓혀 수입선 다변화와 기술 자립, 국내 생산 등 다양한 대책을 강구해 주길 바란다”고 관련 부처에 요구했다.

이에 정부는 부처별 현황 파악에 나서는 한편 의존도가 높은 수입품목에 대한 공급망 점검에 착수했다. 또한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중국의 수출 통제로 인한 원자재 수입 제한 시 업계와 협력해 재고 축적 등 선제적으로 대처할 방침이다. 

업계관계자는 “원자재 가격 상승이 장기화할 경우 부담이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제조업 중심의 중소기업 타격이 예상되는 만큼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의 중장기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국회에서는 중소기업의 부담을 덜기 위한 납품단가연동제 도입을 추진한다. 원자재가격 급등으로 추가비용을 납품대금에 반영하는 내용을 담은 ‘납품단가연동제법’이 발의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경만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8일 납품단가연동제 도입을 위해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과 '하도급거래 공정화' 등 2건의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다. 

김 의원은 “원자잿값 급등으로 원가 인상분을 중소 제조업체에게 전적으로 부담시키는 불공정 거래 관행을 바로 잡아야한다”며 “중소기업과 상생을 위해 원가 상승분을 대기업이 납품대금에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