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빈 기자
고정빈 기자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최근 건설업계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화두로 떠올랐다. 하지만 성공적인 결과로 이어지고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하기는 힘들다.

국내 주요 건설사들은 ESG경영을 강조하며 지속가능한 성장 모델 구축에 나섰다. 시공능력평가 10대 건설사는 관련 조직을 구성하고 ESG위원회를 마련하는 등 친환경·투명경영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결과는 어떠할까.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중 495개를 대상으로 2018년 1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환경법규 위반내역(공개 건수 기준)을 조사한 결과 건설·건자재 업종이 전체 위반 건수의 67.2%(410건)을 차지했다. 특히 2020년 60.5%에서 지난해 80.9%로 급증했다.

ESG경영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하지만 건설업계는 지금까지 뚜렸한 성과를 내놓지 못했다. 한국환경기술원‧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10대 건설사가 보유한 녹색기술과 환경신기술은 평균 2.2건에 불과하다.

주요 건설사들이 ESG경영을 위해 친환경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포부를 거듭 밝혔으나 사실상 이룬 것은 거의 없다. 물론 ESG경영의 중요성이 높아진 것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ESG경영에 대한 우려는 부족한 성과만이 아니다. 대형 건설사와 중소 건설사간 '양극화 현상'도 걱정이다. 지난해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건설동향브리핑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기준 상위 100위 이내 종합건설업체를 대상으로 ESG 수준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보통’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적 규모가 작은 건설사도 분명 ESG경영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중소기업들이 성장과 ESG경영을 함께 이루기에는 극복해야할 과제가 너무 많다. 

아무리 중소 건설사가 ESG경영에 집중해도 대형 건설사들을 따라잡기는 어려운 게 현실이다. 자본력과 전문 인력, 노하우 등에서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우선은 모든 건설사가 지속가능한 성장과 함께 ESG경영을 내재화하는 것이 시급하다.  구호가  아니라 현장에서 실천 가능해야 한다.

정부의 역할도 중요하다. 건설업계 전반적으로 ESG경영이 자리잡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제도적 미비점 개선이 필요하다. ESG경영이 초기 단계인만큼 정부와  기업이 서로 밀고당기며 기초를 하나하나 확실하게 다져가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