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개 시중·국책은행에 290만명 가입
은행 부담 추가 이자 최소 1조원 넘어
지난해 역대급 수익으로 감당 가능해

사진=금융위원회 홈페이지
사진=금융위원회 홈페이지

[서울와이어 주해승 기자] 청년희망적금 가입에 수백만명이 몰리면서 은행권이 부담해야 할 추가 이자가 최소 1조원을 넘어섰을 것으로 추산된다.

추가 비용 등 수습의 부담을 떠안게 된 은행들은 볼멘소리를 내고 있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역대급 수익을 낸 은행들이 청년 지원을 위해 감당하지 못할 이자액은 아니라고 지적한다.

금융권에 따르면 청년희망적금을 판매하는 11개 시중·국책은행에 지난달 21일부터 지난 4일까지 2주간 290만명이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입했다가 바로 해지한 계좌를 제외하고 마감 시한까지 유지된 '활동계좌'만 집계한 수치다. 당초 정부는 38만 명이 가입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보다 7.6배에 이르는 청년들이 몰린 것이다.

청년희망적금은 은행이 가입자에게 연 5% 금리를 주고, 2년 만기를 채우면 정부 예산으로 1년차 납입액의 2%, 2년차는 4%만큼 저축장려금이 지급되는 형식이다. 여기에 이자소득세, 농어촌 특별세가 면제되면 연 9%대 금리를 받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상품 출시 첫날에는 가입 신청이 폭주하며 애플리케이션이 먹통이 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청년들이 적금 상품에 몰려들자 정부는 신청 이틀째(2월 22일)에 3월 4일까지 요건에 맞는 신청자는 모두 가입된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최대 가입자 1인당 36만원 지원금 부담을 지는데, 예상보다 인원이 늘어나면서 재정을 추가로 투입해야 한다. 은행들은 늘어난 이자와 인건비, 추가 수습 비용 등 예상치 못한 부담을 지게 됐다. 

청년희망적금의 기본금리는 다른 적금에 비해 이미 높은 5.0%로, 현재 평균 3% 안팎인 일반 예·적금 금리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여기에 은행별로 최대 1.0%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주고 있어 사실상 연 최고 6.0%의 금리가 적용된다. 

청년희망적금 최대이율은 6.0%, 2년 만기 이자액은 75만원에 달한다. 은행이 가입자들에게 지급하는 차액을 계산해보면, 290만명에게 1조1238억원의 추가 이자를 지급해야 할 것으로 추산된다. 은행 입장에서는 팔수록 손해를 볼 수밖에 없는 상품인 것이다.

특히, 정부가 2021년 중 최초로 소득이 발생한 청년을 배려해 오는 7월쯤 청년희망적금 가입을 재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어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은행들은 벌써부터 불만을 토해내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당국이 '일단 모두 받으라'고 지시한 이후 이렇다 할 논의가 없는 상황"이라며 "손실은 은행이 부담하고, 생색은 정부가 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금융권에선 최근 역대급 수익을 낸 시중은행들이 청년 지원을 위해 감당하지 못할 이자액은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또 은행권이 그동안 확보하기 힘들었던 19∼34세 사이의 청년 고객을 신규 고객으로 끌어들일 수 있었던 점은 이득으로 손꼽힌다.

금융위원회는 청년희망적금 수요 증가에 따른 추가 비용 부담을 은행들이 떠안게 됐다는 일부 지적에 대해 "은행들과 협의과정을 거쳤고, 은행들도 사회공헌을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