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호 기자
정현호 기자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대기업들의 중고차사업 진출 문이 열리자 소비자들은 두팔 벌려 환영한다. 어쩌면 예견된 절차였을지 모른다. 소비자를 우롱해온 중고차매매업계의 현실이 불만을 키운 탓이다. 오죽하면 중고차는 사기라는 의식이 사회 전반에 만연했다.

결국 정부는 3년 가까이 미뤄온 끝에 중고차판매업을 생계형적합업종에 포함하지 않기로 했고, 소비자들은 대기업들의 중고차 진출이 시장 투명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현대차, 롯데 등의 시장 진출로 과거 문제점들이 개선될 것으로 보는 바람이다.

하지만 중고차매매업계는 현 상황을 못마땅하게 여긴다. 대기업의 시장 진출로 이들의 독과점 문제를 거론하면서 반발한다. 소비자들의 신뢰가 바닥을 친 마당에 시장 파이를 빼앗길 염려를 우선으로 내비친다.

도 넘은 소비자 기만행위에 대한 반성은 어디에도 찾을 수 없다. 생계가 걸린 문제로 반발은 당연하지만, 소비자들에 대한 사과와 시장 개선 방안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중고차시장 개방은 무너졌던 신뢰 회복을 위한 마지막 수단이다. 중고차업계는 이를 소비자들이 준 기회로 생각해야 한다. 대기업의 진입으로 시장 전체 신뢰 향상을 비롯한 중고차 수요 증가 등 얻는 효과는 상당하다. 

이를 계기로 중고차시장이 확대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전망도 나온다. 대기업의 중고차시장 진출은 최종 문턱으로 기존 업계와 사업 조정을 남겨둔 상태다. 정부는 ‘중소기업 사업조정심의회’를 통해 추가 사항을 논의하기로 했다.

현시점에서 중고차업계는 본인들의 이득을 위한 반대로 갈등을 조장하는 것보다 대기업과 상생을 통해 소비자 신뢰를 얻기 위해 노력할 때라는 걸 자각해야 한다. 더 이상 소비자는 ‘호구’가 아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