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금융시장 변수 산재… 파월 ‘비둘기파’서 ‘매파’로 바뀔까


▲ 제롬 파월 체제가 시작되는 미 연준이 올해 4차례 금리인상을 단행하며 긴축 행보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졌다.


[서울와이어 이동화 기자] 재닛 옐런 의장 퇴임 후 제롬 파월 시대를 맞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올릴 가능성이 제기됐다.


오는 3일(현지시간) 차기 의장에 취임하는 파월 의장은 옐런 의장의 ‘완만한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가겠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감세정책 등으로 인해 재정적자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기조를 바꿀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지난달 31일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연준 위원들은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1.25~1.50%로 동결했다.


하지만 성명에서 “고용시장의 지속적 강화와 안정적인 경제 활동 확대가 이어지고 있다”며 “올해는 주춤했던 물가(1.7%)가 목표치인 2%에 미치지 못하지만 상향될 것”이라며 3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날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3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83% 반영했다. 71%에서 77%로 늘어난데 이어 80% 이상까지 오른 셈이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추가적인 단계적 금리인상’을 예고해 올해 3차례로 전망되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4차례로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이 확산되고 있다.


골드만삭스와 JP모건 등은 “올해 금리인상 횟수는 4차례”라는 기존 입장을 유지하며 3차례를 예고한 월가와 다른 의견을 밝혔다. 미 CNBC도 “올해 금리인상이 4차례로 늘어날 것”이라며 옐런 의장 퇴임과 파월 의장 취임으로 연준이 ‘매파’적으로 변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미국 장기금리의 기준인 10년물 국채수익률이 한때 2.75%로 3년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으며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날 미 재무부는 2~4월 미국 국채 발행을 총 420억 달러(약 45조700억원) 늘린다고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재무부가 1분기에 2년물·3년물 국채 발행을 한 달에 20억 달러 늘리고 5년물·7년물·10년물·30년물 역시 10억 달러씩 늘릴 계획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연준이 과거 양적완화(QE)를 위해 대량으로 매입한 국채를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있는 만큼 시장이 소화해야 할 금액은 더 커진다.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정책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지난해 말 세제개혁안이 의회를 통과하면서 10년간 1조5000억 달러 규모의 세수가 줄어드는 데다 지난달 3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첫 국정연설에서 올해 1조5000억 달러의 인프라 투자를 단행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미 의회예산국(CBO)은 3월 중순까지 연방정부의 부채한도가 상향조정되지 않으면 다시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파월 신임 의장이 트럼프 행정부의 대형 감세 부담에 휩싸인 시장을 정면으로 응시해야 한다”고 했고, 산케이신문은 “노동수급 핍박이 이어지는 가운데 경제 성장만을 추구하면 물가상승 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대규모 감세 등 재정 부양정책으로 임금 인상 압력이 거세질 경우 경기 과열 우려가 커지고, 결국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가 빨라질 수밖에 없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한편 양적완화에 따른 자산가격 급등과 물가 정체라는 상반된 과제를 떠안은 파월 의장은 오는 5일 취임선서식 이후 제16대 연준 의장으로 정식 취임한다.


miyuki@seoulwire.com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