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해승 기자
주해승 기자

[서울와이어 주해승 기자] 코로나19로 지난 2년간 몸살을 앓는 동안, 금융권은 전례없는 언택트 시대를 열었다.

비대면거래 확대, 인터넷·모바일 뱅킹 채널 확산, 점포 효율화 등 디지털 혁신은 빠른 속도로 이뤄졌다. 이 같은 변화는 코로나가 진정된다고 해서 다시 되돌아갈 움직임이 아니다.

그러나 정부도 금융권도 금융소외 해결엔 여전히 소극적이다.

디지털 혁신 가속화로 인한 고령층, 장애인, 농·어촌과 같은 금융 취약 계층의 소외문제는 늘 지적돼 왔다. 비대면·디지털화가 확산되면서 은행들의 점포 축소도 가속화되고 있다.

2016년 말 7101개였던 은행 점포는 지난해 말 6094개로 1007개(14%)가 폐쇄됐다. 같은 기간 4만3710개였던 은행권 ATM은 3만2352개로 1만1358개(26%)가 사라졌다. 은행이 아예 없는 동네도 있다. 거동이 힘든 고령층이나 장애인들, 운전 면허나 자가용이 없는 취약 계층은 금융 서비스에 접근하기 조차 힘든 것이다.

비대면 거래에 익숙치 않은 65세 이상 고령층은 사실상 혜택 등의 부문에서도 차별을 받아 왔다. 은행들은 비대면 거래를 할 경우 우대금리·수수료 등 금전적 혜택을 제공한다. 은행들이 65세 이상 고령층에 대해 영업시간 내 ATM 수수료를 면제하고 있지만, ATM 자체도 빠르게 사라지는 마당에 고령층의 불편이 해소될 리가 만무하다.

은행들은 매년 역대급 실적을 올리면서도 비용이 많이 든다며 점포를 축소하고 있다. 비대면으로 모든 금융 거래가 이뤄지는 인터넷뱅킹과 다를 점이 전혀 없다. 은행권의 차별성과 전문성도 사라지고 있는 추세다. 

은행들은 키오스크나 해외에서 도입한 혁신점포, 공동점포 등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지만, 여전히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해결책들은 아직 도입 초기 단계로 시범운영적 성격에 불과해 금융 정보 격차를 줄이는데 효과적일지 알 수 없는데다,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할지도 미지수다.

정부의 태도도 문제다. 무턱대고 점포를 늘리라거나 앱을 만들어보라는 식의 권고는 은행들조차 수긍하기 어렵다. 실제 금융 취약 계층에게는 모두 뜬구름 잡는 이야기일 뿐이다. 은행에 떠넘기기식이 아닌 보다 현실적인 해결책을 정부가 나서서 고안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