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에서 영업중인 상점들.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에서 영업중인 상점들. 사진=연합뉴스

대형할인마트와 편의점, 온라인쇼핑몰의 등장 이후 사람들이 전통시장에 가야 할 이유를 찾지 못한다. 정부는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해 다양한 시도와 예산을 들이지만 방문객 수가 눈에 띌 만큼 늘지 않는다.

정부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시설 현대화, 주차환경 개선, 지역화폐 발행, 간편 카드결제 등을 지원해왔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전통시장보다 대형마트를 먼저 찾는다. 한 달에 두 번 대형마트가 문을 열지 않는데, 그때도 전통시장은 뒷전이다.

정부의 지원으로 주차시설이 마련됐고 건물 외관도 깔끔해졌다. 하지만 일부 건물주는 이를 악용해 임대료를 올리는 모습을 보였다. 온누리상품권도 미가맹점포에서 환전하거나, 물품판매 없이 상품권을 부정유통하는 사례가 발생했다.

간편 카드결제도 지원했지만 현금 없이 전통시장에서 장을 보기가 쉽지 않다. 물론 카드결제가 가능한 곳도 있다. 그렇지만 작은 규모의 전통시장일수록 현금이나 계좌이체를 유도하는 경우가 더 많다.

몇 가지 정부 지원사례에서 공통점이 보인다. 정부의 지원만으로 전통시장을 활성화할 수 없다는 점이다. 시설환경을 개선하고 시스템을 바꿔도 정작 소비자를 상대하는 상인이 변하지 않으면 전통시장은 몰락할 수밖에 없다.

아직도 전통시장에선 카드결제 거부, 현금영수증 미발급, 교환이나 환불 불가, 가격 후리기 등이 다반사다. 이런 행위가 지속되는 한 전통시장이 활기를 찾는 일은 없을 것이다. 스스로 손님을 내쫓았으면서 시장을 살려내라고 떼쓰지 마라.

전통시장을 향한 정부의 지원을 멈추라는 게 아니다. 그보다 상인들의 자정노력이 절실하다는 얘기다. 이번 정부도 전통시장 활성화를 돕겠다고 약속했다. 만약 상인들이 노력하지 않는다면 정부의 지원은 혈세낭비가 된다.

박성필 산업부장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