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 "주거비부담·임대차불안 완화 필요"

청년 1인 가구는 10년간 119만3000여 가구가 증가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청년 1인 가구는 10년간 119만3000여가구가 증가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김동휘 기자] 최근 청년 1인가구 규모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청년 1인가구 중에서 저소득가구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됐다.

국토연구원이 27일 발표한 '청년가구 구성별 주거여건 변화와 정책 시사점'에 따르면 청년(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1인가구 규모는 2010년 74만8000여가구에서 2020년 194만2000만여가구로 10년간 119만3000여가구가 증가했다. 청년부부가구, 부모동거가구 규모가 감소하는 추세와 대조적이다.

2020년 기준 청년 1인가구 중 저소득가구(소득 10분위 기준 1~4분위)의 비중은 75.1%다. 2010년에 비해 13.6% 증가한 수치다. 첫 취업 연령이 높아진 영향으로 보인다. 인크루트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졸 신입사원의 평균 연령은 2008년 27.3세에서 2018년 30.9세로 10년 사이 3.6세 더 높아졌다.

또한 청년 1인가구의 거주 형태는 보증부 월세 59.4%, 순수월세 8.2%로 월세 비중이 매우 높았다. 반면 청년 부부가구는 자가(42.3%) 및 전세(37.0%) 비중이, 부모동거 청년가구는 자가(75.1%) 비중이 월등히 높아 청년가구 형태별 차이가 확연히 드러났다.

이에 따라 청년 1인가구 중 29.3%는 '임차료 및 대출금 상환이 매우 부담된다'고 답했으며, '부담된다'는 대답이 50.9%, '별로 부담 되지 않는다'는 답변이 16.9%, '전혀 부담 되지 않는다'는 응답이 2.9%로 뒤를 이었다.

이에 국토연구원은 "경제적·물리적·심리적 측면의 주거취약을 모두 고려하면 최대 181만 청년가구가 주거비의 부담이나 거처의 비적정성 등에 노출됐다"며 "민간임대차시장의 약자인 청년의 주거비부담 완화, 기준 미달 완화, 임대차 불안 완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