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수소충전소 117곳 중 절반 이상인 61곳은 지난해 적자를 냈다. 사진=수소유통정보시스템 캡처
전국 수소충전소 117곳 중 절반 이상인 61곳은 지난해 적자를 냈다. 사진=수소유통정보시스템 캡처

[서울와이어 박정아 기자] 전국의 수소충전소 중 절반 이상이 지난해 적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소유통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전국 수소충전소는 117곳이다. 하지만 이 중 절반 이상인 61곳은 지난해 적자를 냈다. 

지난 4월 환경부는 지난해에 이어 적자 수소충전소의 초기 운영여건 개선을 위한 공모사업을 통해 지난해 적자 충전소 61곳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지원금액은 1곳당 평균 5800만원에 총 35억원이 확정됐다. 실제 적자 규모는 1곳당 평균 9500만원 수준이다.

다만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지원받는 적자 수소충전소 12곳을 비교하면 평균 적자 규모가 1억8300만원에서 1억6000만원으로 12.6% 감소했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2018년 8월 문재인 정부는 ‘혁신성장전략투자방향’에서 수소경제를 3대 투자 분야 중 하나로 선정하고 2019년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마련했다.

이 로드맵은 수소차와 연료전지를 중심으로 세계 최고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겠다는 비전과 계획을 담았다.

수소충전소는 2022년 310개에서 2040년에는 1200개 규모로 늘리기로 했다. 또 2018년 2000대 규모의 수소차 생산을 2040년까지 620만대로 확대해 세계시장 점유율 1위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

그 후로 3년이 지났지만 수소충전소는 아직까지 올해 목표로 했던 310개의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그나마도 절반 이상의 충전소는 적자에 시달리는 실정이다.

수소차 보급 역시 목표에 미치지 못했다. 로드맵에 따르면 올해 수소승용차는 내수시장에서 6만5000대를 보급하고 2040년에는 290만대로 늘리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올해 2분기까지 자동차 누적등록 대수를 보면 수소차는 2만4000대로 목표의 37% 수준에 불과해 로드맵 기준에 한참 못 미치는 상황이다. 국내에서 수소승용차를 선보이는 업체가 현대차그룹 단 한 곳뿐인 것도 한계로 지적된다.

수소차 보급 확대는 앞으로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윤석열 정부는 올해 2차 추가경정예산에서 수소차 보급 및 수소충전소 설치 사업 예산을 종전 8928억원에서 6678억원으로 대폭 축소했다.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이후 3년이 흘렀지만 수소경제 전환은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