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79개사 저축은행의 12개월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전날 기준 연 3.46%로 집계됐다. 사진=서울와이어DB
전국 79개사 저축은행의 12개월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전날 기준 연 3.46%로 집계됐다. 사진=서울와이어DB

[서울와이어 주해승 기자]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은행이 예·적금 금리를 빠르게 인상하면서 저축은행과의 정기예금 평균 금리 차가 0.18%포인트로 좁혀졌다. 

시중 자금이 5대 은행으로 몰리게 되면 저축은행이 대출 재원으로 활용하고 있는 수신액의 이탈 가능성도 커진다. 그러나 저축은행들은 하반기 대출 수요가 크지 않다며 금리 인상을 통한 수신 잔액 방어에 여유를 부리고 있다.

10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전국 79개사 저축은행의 12개월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전날 기준 연 3.46%로, 5대 은행의 정기예금(최고 금리 상품 기준) 평균(연 3.28%)과 0.18%포인트 차에 불과했다.

그동안 저축은행들은 은행 정기예금과 0.5%~1%포인트 수준의 금리 차를 유지하면서 수신고를 지켜 왔다. 그러나 은행들이 금리 인상에 속도를 올리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 1%포인트가 차이가 났던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1년 만에 5분의 1로 좁혀졌다. 

실제 최근 들어 소비자의 은행 예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은행의 예금 잔액은 빠르게 늘었다. 5대 은행의 7월 말 기준 정기예금 잔액은 712조4491억원으로 전달과 비교해 27조3532억원 늘었다. 이달 들어서는 5영업일 사이 잔액이 1조7425억원 불어났다.

시중 자금의 대부분을 은행이 차지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경쟁 열위에 있는 저축은행 등 비은행사들은 유동성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하지만 저축은행들은 대출 수요가 크게 줄었다고 판단해 조달 비용을 늘리지 않으려 하고 있다.

실제로 금리 인상기에 접어들면서 가계대출 수요는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이에 더해 7월부터 가계대출 규제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 적용 대상이 1억원 초과 대출자로 확대되고 부동산 시장 침체까지 더해지면서 전달의 가계대출 감소세는 뚜렷했다.

금융위원회가 이날 발표한 '2022년 7월 중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7월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 잔액은 전월보다 1조원 감소했다. 지난 4월부터 증가세를 보인 가계대출 잔액이 3개월 만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전 금융권의 신용대출 잔액은 전월보다 3조6000억원으로 크게 줄었다. 6월에 2조8000억원 늘었던 주담대 잔액은 7월에 2조5000억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2금융권에서는 상호금융과 카드·캐피탈사를 중심으로 가계대출 잔액이 8000억원 감소했다. 상호금융의 가계대출 잔액은 전월보다 1조2000억원 줄었고, 카드·캐피탈사에서는 2000억원 감소했다. 다만 저축은행과 보험업권은 각각 4000억원, 2000억원씩 가계대출 잔액이 늘어 증가세를 이어갔다.

저축은행들은 하반기 가계대출 수요가 꺾여 수신을 확대할 필요가 크지 않다는 입장이지만, 이로 인해 유동성 리스크 관리가 소홀해 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또 기업대출이 큰 저축은행 등의 가계대출 잔액은 소폭 증가세를 이어간 만큼 자금 경색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회전식 정기예금과 파킹통장 비중을 확대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고려 중이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