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호 기자
정현호 기자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국내 대형조선사 '빅3' 중 하나인 대우조선해양이 생존 기로에 섰다. 대규모 공적자금이 투입됐지만, 경영정성화까지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 여기에 하정지회 파업까지 겪으며 '자생력'이 부족하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대우조선이 정부 국책금융기관인 KDB산업은행 관리를 받아온 지 20년가량이 흘렀다. 공적자금 투입은 과거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 대우그룹 해체 과정에서 지원된 2조9000억원이 시작이었다. 

산은과 수출입은행을 통해 투입된 자금만 12조8000억원에 달한다. 자금 지원에도 경영정상화 속도는 더딘 상태다. 수주 호황기에 접어들면서 많은 일감을 따내기는 했으나 재무상태는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실제 지난해 기록한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은 각각 1조7547억원, 1조6998억원이다. 올 1분기의 경우 4701억원, 2분기는 995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면서 적자가 지속됐다. 옥포조선소 하청지회 파업에 따른 손실까지 더해져 벼랑 끝에 내몰렸다.

이대로면 대우그룹이 그랬던 것처럼 파산도 충분히 예상 가능한 시나리오다. 산은은 일찌감치 대우조선의 독자생존 가능성을 낮게 본 것으로 보인다. 앞서 현대중공업그룹에 매각을 시도하면서다.

대우조선 매각은 막판 유럽연합(EU) 당국에 막혀 좌절돼 다시 원점으로 돌아왔다. 당장 대우조선은 올해 3월 새로운 수장에 박두선 사장을 선임하면서 나름대로 활로를 모색 중이다. 

조선소장을 지냈던 '생산 전문가'를 선장으로 내세워 체질 개선에 나서는 등 독자생존 길을 찾고 있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정부는 이와 관련 조만간 외부기관에 경영컨설팅 결과를 토대로 대우조선에 대한 결단을 내릴 전망이다.

구체적인 회생방안이 발표될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청산과 재매각을 두고 저울질할 것으로 예상된다. 청산의 경우 대우조선 소속 임직원뿐 아니라 중소협력사 직원들은 하루 아침에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 

또한 국가기간 산업으로서 조선업 경쟁력 악화 등 부적정 영향이 불가피하다.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재매각이다. 최근 조선업이 '슈퍼사이클(대호황기)' 초입에 진입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그동안 정부가 매각 타이밍을 놓친 것도 대우조선 위기가 커진 이유 중 하나다. 하지만 절호의 기회가 다시 찾아왔다. 조선업계가 수주 호황기를 맞은 지금이 매각 적기다. 국제정세가 요동치면서 지금의 호황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장담할 수 없다. 

재매각 추진 시 여러 기업이 인수의향을 내비칠 가능성이 높다. 대우조선해양이 보유한 잠수함, 군함, 특수선 등 방산부문을 노리는 기업도 여럿 있는 것으로 알려지는 등 분할 매각으로 무게추가 쏠린다. 

앞서 한화그룹이 대우조선 인수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되는 등 매각이 급물살을 탄 적도 있지만, 당시 경영환경 등의 이유로 최종 불발됐다. 다시 돌아온 매각 기회, 반드시 잡아야한다. 통이던 분할이던 매각만이 대우조선의 미래를 위한 길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