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국 내 제조기업들 환율 리스크 직면
바이든 행정부 '리쇼어링 정책'도 타격

달러 강세가 지속되며 증시 부진이 계속되는 가운데 증권가에선 2차전지, 신재생에너지 등 경기 방어주 중심의 방어적인 포트폴리오로 대응할 것을 권고했다.사진=픽사베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달러화 강세가 자국 제조기업들의 경쟁력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분석했다. 사진=픽사베이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달러화 강세가 미국 현지 제조기업들에게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인플레이션 대응을 목적으로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시도했지만, 같은 시기 자국 제조기업들은 달러 강세 장기화로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

11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최근 강달러 현상은 미국 제조업의 경쟁력 악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매체는 잇따른 금리 인상이 부른 강달러가 미국 내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업체에겐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분석을 내놨다.

달러 강세가 오랫 동안 지속됨에 따라 미국에서 제조된 물건이 수입품 가격보다 저렴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애플, 구글, 엔비디아 등 해외사업에 의존하는 기업들 역시 달러 강세로 실적 방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해외 판매 수익을 자국으로 들여올 때 발생하는 환차손으로 인한 이익 감소에 따른 것이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리쇼어링(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대통령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우크라이나 전쟁 등 잇따른 변수로 취약해진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자국 일자리 창출을 통한 제조업 회복을 구상 중이다. 이에 올해 리쇼어링 정책을 본격화했다. 

반도체사업 활성화를 위한 ‘반도체산업 육성법(CHIPS)’과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이 대표적으로 세액공제·지원을 약속했다. 정책에 맞춰 제조기업들은 자국 투자를 확대하는 등 생산능력 증대에 나섰지만, 환율 리스크에 고스란히 노출됐다.

WSJ는 미국 유명 가전업체 월풀을 강달러로 피해를 본 대표 기업으로 꼽았다. 월풀의 경우 유럽·중동·아프리카에서 지난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9% 급감했다. 제너럴일렉트릭(GE) 올 3분기 매출은 2%가량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로서 내년까지 고금리 기조가 유지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달러 가치 추가 상승은 기정사실화 됐으며, 자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을 꿈꾸는 계획이 어긋날 가능성도 높아졌다. 미국 내 사업투자에 대한 메리트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기업들의 경우 해외공장을 굳이 자국으로 옮길 필요성이 없어졌다. 국내 복귀를 지원하는 미국 이익단체인 ‘리쇼어링 이니셔티브’의 해리 모저 회장은 “강달러가 미국 기업들을 쇠약하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