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호 기자
정현호 기자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조승환 해양수산부장관이 올해 잇따라 내놓은 HMM 민영화 추진 입장에 업계 관심이 쏠렸다. 하지만 HMM 민영화 향방은 아직 ‘오리무중’이다.

장관직까지 걸었던 조 장관은 최근 “대우조선해양처럼 급하게 매각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앞서 그는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HMM의 경쟁력을 높이고 민영화를 위한 정부 지분 매각도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며 매각을 공식화했다. 국내 대표선사로 발돋움한 HMM의 매각을 앞당기겠다는 것으로 해석돼 민영화 기대감을 잔뜩 키웠다.

앞서 정부는 경영난에 빠져 영업적자를 기록했던 HMM에 공적자금 7조4000억원을 투입해 구조조정을 진행했다. 결과적으로 회사는 지난해 매출액 13조8000억원, 영업이익 7조4000억원에 이르는 사상 최대 실적을 내는 등 긴 부진에서 탈출했다. 

돌연 조 장관은 지난달 29일 기자들과 만나 “완전 정상화에 몇 년 정도 걸릴 것”이라며 “매각은 현금 보유력과 주가를 종합적으로 감안해야 한다. 운임뿐 아니라 주가 등을 고려하면 내년이 지나도 팔 수 없는 건 아니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 부분에 대해선 명확한 해명이 필요하다. 매각 적기가 아니라고 판단 내린 것으로 보이지만, 정부가 지속적으로 대형 기업을 끌고 가야 하는지는 의문이다. 무엇보다 대규모 선박과 선대 확보에는 대규모 투자가 선행돼야 한다.

특히 HMM이 앞으로 글로벌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자본력 있는 민간 기업에 대한 매각이 필수적이다. 한화그룹이 인수하기로 한 대우조선해양과는 결이 다르지만, 상황은 비슷하다.

대우조선해양 역시 정부에 공적자금을 지원받아 명맥을 이어왔고, 매각까지는 약 20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자칫 HMM도 시기를 놓쳐 매각이 장기간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시장에서도 정부가 HMM의 구조조정을 성공한 만큼, 공공지분을 정리해 민영화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조 장관 발언을 비춰보면 정부는 민영화에 속도를 낼 의지가 없어 보인다. 이는 해운시장을 혼란스럽게 만드는 일이다. HMM 구성원들의 정상화를 위한 노력에도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주무 부처 장관으로서 보다 책임감 있는 자세로 입장을 분명히 하는 동시에 이제는 HMM 민영화에 대한 ‘마침표’를 찍길 바란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