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 염보라 기자] 은행권 저축성 예금 증가속도는 빨라지고 요구불예금은 둔화하고 있다.

요구불예금은 연이자가 0.1% 수준인 수시입출금식 예금을 말한다. 급여 통장이나 공과금 이체 통장이 대표적인 예다.

지난해 증시가 불안정했던 데다 '짠테크' 열풍으로 저축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면서, 요구불예금으로 묶여 있던 대기성 자금이 비교적 금리 매력이 있는 저축성 예금으로 이동한 것으로 풀이된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국내 은행권 요구불예금 잔액은 194조5446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대비 2.0% 증가한 규모로, 증가율만 놓고 봤을 때 2010년 3분기(-1.6%) 이후 가장 작다.

요구불예금은 2014년 3분기부터 2017년 3분기까지 꾸준히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특히 2015년 3분기에는 32.1%까지 치솟기도 했다.

하지만 2017년 4분기 8.0%로 두자릿수 벽을 깬 이후 지난해 1분기 6.2%, 2분기 6.1%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나타냈다.

반면 저축성 예금 증가율은 높아졌다. 지난해 3분기 말 저축성 예금 잔액은 1175조1612억원으로, 전년보다 6.5% 늘었다. 

저축성 예금 증가율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4~5%대에 머물다가 지난해 들어서면서 6%대로 뛰었다.

특히 정기예금 거래가 크게 늘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은행 정기예금 잔액은 668조4000억원으로 파악됐다. 1년 전인 2017년 말 잔액은 595조7000억원으로, 1년 새 72조2000억원이 새로 유입된 것이다. 

1~2년 전인 2016년과 2017년 정기예금 순유입액은 각각 19조4000억원, 28조8000억원에 불과했다. 역대 최대 증가폭을 보였던 2010년(95조7000억원) 이래 최대치라는 게 금융권 설명이다.

bora@seoulwire.com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