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고창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등 9건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하였다.

보물 제1918호 ‘고창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高敞 文殊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은 인간 세계를 교화하는 석가여래를 중앙에 두고 좌우에 동·서방의 정토(淨土)를 다스리는 약사여래와 아미타여래를 배치한 삼불형식을 보여준다.

삼불형식은 임진왜란·정유재란 이후 황폐해진 불교를 재건하는 과정에서 신앙적으로 크게 유행하였다. 이 삼불상은 1654년에 벽암각성(碧巖覺性, 1575~1660)의 문도들이 주축이 되어 수조각승 해심을 비롯한 15인의 조각승이 참여하여 만들었다는 사실이 밝혀져, 이 시기 불교조각의 기준이 되는 작품이다. 통통한 양감이 강조된 인간적인 얼굴에 단순하고 기백 넘치는 주름 표현을 통해 조선 후기 불교조각이 추구한 평담(平淡)하고 대중적인 미의식을 잘 담아내고 있다.

보물 제1919호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奉化 淸凉寺 乾漆藥師如來坐像 및 腹藏遺物)’은 흙으로 형태를 만든 뒤 그 위에 삼베를 입히고 칠을 바르고 말리는 과정을 반복해서 일정한 두께를 얻은 후 조각하여 만든 건칠불상이다. 이 불상에서 보이는 엄숙한 상호(相好), 당당하고 균형 잡힌 형태, 탄력과 절제된 선은 석굴암 본존불 등 통일신라 전성기 불상의 양식 계통을 따르고 있는데, 불상의 바탕층에 대한 방사선탄소연대 측정 결과도 이와 유사한 기원후 770~945년경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이 불상은 이르면 8세기 후반, 늦어도 10세기 전반에는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930년경, 보물 제999호)’과 함께 우리나라 건칠불상의 시원적 작품으로서 중요한 조각사적 의의를 지닌다.

□ 상호(相好): 부처의 몸에 갖춰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

보물 제1920호 ‘고창 문수사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일괄(高敞 文殊寺 木造地藏菩薩坐像 및 十王像 一括)’은 삭발한 승형의 지장보살상과 제왕형의 시왕(十大王)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8 평등대왕상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 덕분에 1654년 3월 당시 불교계를 대표했던 벽암각성(碧巖覺性,1575~1660)의 문도들이 주도한 불사(佛事)임을 알 수 있으며, 조각승은 대웅전 석가여래삼불좌상을 만들었던 해심 등 15인의 조각승들이 모두 참여하였다. 본존인 지장보살상은 통통한 얼굴과 아담한 형태미가 두드러지며, 시왕상은 지옥중생을 심판하는 사실적인 연출과 함께 고색 찬연한 채색이 돋보이는 17세기 중엽 경의 대표적인 명부조각이다.

□ 시왕상(十大王): 지옥에서 죽은 자를 심판하는 열 명의 왕을 새긴 조각

보물 제1921호 ‘양산 금조총 출토 유물 일괄(梁山 金鳥塚 出土 遺物 一括)’은 경주가 아닌 양산 북정리(北亭里)에서 발견된 신라 고분군으로 신라 고분 문화의 전파와 계보를 연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제작 시기는 경주에서 발견된 귀걸이와 금제 팔찌 등과의 양식적 비교를 통해 삼국 시대 6세기경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특히, 누금세공으로 귀갑문(龜甲文)을 아로새긴 금제태환이식(金製太環耳飾) 귀걸이는 신라 최고의 금속공예품으로 평가되고, 금제조족(金製鳥足)은 국내에서는 유일한 것이어서 가치가 있다. 이외에도 톱니모양의 금제팔찌, 은제 허리띠, 청동제 초두(靑銅製鐎斗) 등도 경주 이외의 지역에서 발견된 사례로, 중요한 의의를 지닌 유물이다.

□ 초두(鐎斗): 술·음식·약 등을 끓이거나 데우는 데 사용한 그릇

보물 제1922호 ‘부산 복천동 출토 금동관(釜山 福泉洞 出土 金銅冠)’은 현재 신라권에서 출토된 관 가운데에서는 매우 이례적인 형태이다. 주실인 11호분의 피장자 우측에서 출토된 금동관은 5~6세기 신라 경주를 중심으로 한 출자형(出字形) 금관과는 달리 대륜(臺輪)에 나뭇가지 모양의 입식(立飾)이 연결되어 있다. 이는 부산 동래 지역의 고유한 형태를 반영한 것으로 특히, 입식이 모여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점은 경주 교동 출토 금관과 유사하다. 그밖에 입식 끝이 하향하고 있는 점, 영락(瓔珞, 구슬 장신구)이 없는 대륜에 물결무늬를 그려 넣은 부분, 혁대를 조여 관을 쓰는 장치가 있는 점 등은 5~6세기 신라관의 계보와 가야의 관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고고학적 자료로 가치가 크다.


□ 대륜(臺輪): 관의 둥근 밑동 부분
□ 입식(立飾): 머리에 얹는 관의 둥근 밑동 부분 위에 세운 장식

보물 제1923호 ‘정조 어찰첩(正祖 御札牒)’은 정조가 1796~1800년까지 4년간 좌의정 등 고위직을 역임한 심환지에게 보낸 어찰로 300통에 달하는 다양한 내용의 어찰이 날짜순으로 6첩 장첩되어 있다. 이 어찰의 내용은 대부분 정사(政事)와 관련된 것들이어서 당시의 정치적 상황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사료이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서간문의 격식과는 다른 부분들이 있는데, 발신자인 정조의 편지에는 발인일자가 없으나 수신자인 심환지는 수신한 일자와 시간을 기록하고 있어 후대에 남길 목적임을 알 수 있으며, 어찰에 사용한 지질이 다양하여 긴급한 사안에 대해서는 지질이나 격식을 따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글과 이두식 표현, 속담과 구어 등 실용적 문체를 구사한 점도 주목할 부분으로 조선 시대 서간문의 형식을 연구하는 데도 도움 되는 자료이다.

□ 장첩(粧帖): 글씨나 그림 등을 잘 보존하기 위하여, 두꺼운 종이를 붙여 책처럼 만든 것

보물 제1924호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은 정도전(鄭道傳, 1342~1398)이 조선 초기인 1394년 국가경영을 위한 통치전범을 마련하기 위하여, 조선의 건국이념과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전반에 대한 기본방향을 제시한 서적이다. 개인적인 편찬물이기는 하지만, 그가 조선건국의 중심에 있었고, 실질적으로 조선건국의 이념을 창안한 실질적 책임자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특히 이 책이 토대가 되어 이후 ‘경제육전(經濟六典)’, ‘육전등록(六典謄錄)’등 법전의 편찬단계를 거쳐서 조선의 기본법전인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에 모체가 되었다는 점과, 조선전기의 간본으로는 이 책이 유일하다는 점에서 조선의 출판과 법전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보물 제1147-3호 ‘묘법연화경 권5~7(妙法蓮華經 卷五~七)’은 1470년(성종 1)에 세조비(世祖妃)인 정희왕후(貞熹王后)가 차남인 예종(睿宗)이 돌아가자 이미 고인이 된 세조(世祖)와 장자인 의경왕(懿敬王;德宗) 그리고 예종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간행한 왕실판본이다. 조선전기 왕실판본의 사례로서 간행시기와 동기가 분명하며, 보존상태 또한 양호하고, 전래되는 같은 초기 인본(印本)이 극히 희소하기에 귀중하다.

□ 묘법연화경: 천태종의 근본경전으로,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유통된 불교경전

보물 제1196-2호 ‘묘법연화경 권4~7(妙法蓮華經 卷四~七)’은 태종의 넷째 아들인 성녕대군(誠寧大君)이 14세에 요절하자 그의 장인으로 인순부윤(仁順府尹) 직에 있던 성억(成抑)이 성녕대군과 대군의 모친인 원경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간행한 경전이다. 당대의 명필로 불린 성달생과 성개 형제가 서사한 법화경을 저본으로 하여 판각한 책판에서 인출한 것으로 전 7권 가운데 권4~7이다. 이 책은 보물 제1196호인 ‘묘법연화경’(통도사 소장)과 동일한 간행본으로서 같은 판본에서 찍어낸 것이다. 이번에 지정 예고되는 대상은 판면의 상태가 선명하고 다른 발문이 없다는 점에서 1422년 판각 즉시 인출한 초인본(初印本)으로 추정된다. 조선 초기의 불교사 연구와 인쇄술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한 문화재가 체계적으로 보존·활용될 수 있도록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 협조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와이어 김 민기자]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