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 이동화 기자]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의 멍완저우(孟晩舟) 부회장 겸 최고재무책임자(CFO)의 신병 인도를 공식 요청한 가운데 글로벌 기업들의 화웨이 외면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말 화웨이와의 5세대(5G) 부문 협력을 강조했던 영국은 물론 뉴질랜드와 호주도 네트워크 장비 사업에서 화웨이를 제외한다고 밝혔다. 중국과 불편한 관계에 있는 대만도 화웨이 퇴출에 동참하면서 경영 위기 가능성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미국은 지난해 8월 화웨이와 ZTE가 미국에 통신장비를 팔지 못하도록 조치했다.

 

이어 지난주 미 의회에서는 중국 통신사에 미국 반도체나 부품을 판매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이 발의된 상태다. 미 반도체와 부품 공급 길을 막아 통신장비 생산에 타격을 입히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미국의 압박 정책에 화웨이와의 5세대(5G) 부문 협력을 강조했던 영국은 물론 뉴질랜드와 호주도 네트워크 장비 사업에서 화웨이를 제외한다고 밝혔다.

 

대만도 중국 하이테크 기기 규제 강화에 동참한다. 23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대만 행정원 국가통신전파위원회는 안전보장 상의 우려를 이유로 공공기관 등에서 중국 제품 사용을 금지한다는 방침이다.

 

사용 금지 대상은 3월 말까지 발표되며 화웨이와 ZTE(중싱통신), 하이크비전, 다화 테크놀로지 등이 될 가능성이 높다. 레노보도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신문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대만 통일 압박이 강해지자 중국에 강경한 입장을 취하는 트럼프 행정부 방침에 동조하려는 분위기”라며 미국에 협조해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려는 의도라고 해석했다.

 

시 주석은 중국 대륙과 대만이 한 나라에 속한다는 ‘하나의 중국’ 원칙에 이어 한 국가 두 가지 체제라는 ‘일국양제’(一國兩制) 방침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통일 전략 거부로 지난 2016년 차이 정권 출범 이래 5개국과 외교관계가 단절된 상태다.

 

차이잉원(蔡英文) 대만 총통은 연초 간담회에서 “중국 기업의 기밀 정보 안전 문제는 전 세계에서 지적되고 있다”며 “중요한 정부 인프라에서 허점이 생기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말해 규제 강화 방침을 시사했다.

 

대만은 군 정보 보호를 위해 중국산 스마트폰 등 통신기기 사용을 금지해 왔지만 차이 총통은 규제 범위를 공공기관 전체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