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 이동화 기자] 일본 정부가 완만한 경기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이달까지 6년 2개월, 즉 74개월 연속 경기 확장을 이어가며 전후 최장 기록을 경신했다고 29일 발표했다.

 

하지만 이튿날 엔화환율이 주요 기업들이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떨어지며 엔화 강세가 이어져 기업실적의 불투명성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30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올 들어 엔화환율 평균이 달러당 108엔대를 보이고 있다며 현재와 같은 엔고 상황이 이어질 경우 2015년(2016년 3월기) 이래 처음으로 상장기업의 순이익이 감소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본 정부는 ‘1월 월례 경제보고서’에서 2012년 12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2차 집권 이후 엔화 약세를 계기로 수출 기업의 실적 개선이 경기를 이끌었다고 평가했다.

 

글로벌 경제 상황에 먹구름이 끼면서 생산성 향상이 다시 과제로 떠오르고 있지만 일본 경제를 더욱 가속화해 경기회복 실감을 높이겠다는 게 일본 정부의 방침이다.

 

경기회복의 실감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이같이 대답한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경제재정재생상은 “중국의 실질 성장률이 지난해부터 서서히 감속하고 있으며 미중 무역갈등 등으로 인해 수출입 성장도 낮아지고 있다”면서 글로벌 경제 동향이 일본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주시하겠다고 말했다.

 

아소 다로(麻生太郞) 부총리 겸 재무상은 “경기는 순환하는 것이어서 좋을 때가 있으면 나쁠 때도 있다”며 “미국이 경제 전쟁의 상대를 일본이 아닌 중국으로 방향을 튼 것이 작용했다”며 경기회복이 74개월 이어지는 배경을 설명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경기회복이 전후 최장기간 이어진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가능성’”이라면서 “이것을 더 확실히 하기 위해 경제 대책에 매진하겠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문제는 이번 경기회복의 특징이 성장률이 낮다는 점이다. 이 기간 중 연평균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2%에 불과하다. 1965~1970년 호경기 때 11.5%, 1986~1991년 거품경기 때도 성장률은 5.3% 수준이었다. 지금까지 최장기 경기회복을 보였던 2002~2008년도 1.6%였다.

 

미즈호종합연구소는 “일본이 직면한 올해 최대 리스크는 예상 환율을 넘어선 엔고”라며 아베 정권의 대규모 금융완화 등으로 엔화가치가 하락해 경기회복을 이끌었지만 “선순환이 끊기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은행이 발표한 단기경제관측조사(단칸)에 따르면 대형 제조업의 2018년 하반기 예상환율은 달러당 109.26엔이다. 지난해 10월부터 최근까지 평균 환율은 111엔대였지만 1월만 놓고 보면 평균환율은 108엔대다.

 

연구소는 이러한 수준이 계속 이어지면 수출기업을 중심으로 실적 역풍이 우려된다면서 정부가 재정지출을 늘려 경기를 부양해 왔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어 중국 경제의 성장 둔화와 국제유가 등 자원가격 하락까지 겹치면서 2016년 3월기 연결 순이익이 4년 만에 감소했다는 점을 들며 현 상황과 비슷하다고 주장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글로벌 경기 둔화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이 변화하면서 미일 금리차가 축소되는 등 ‘엔고 리스크’가 현실이 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니혼게이자이는 기업들이 중장기 전략으로 환율에 흔들리지 않는 체질을 만들고 신흥국 통화에 대한 엔고 대책을 세우고 있지만 환율 변동에 대응하기 쉽지 않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