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관의 피'서 광역수사대 형사 '박강윤' 역
'강윤' 처럼 연기하며 '효율추구' 하는 스타일
여러 작품 속 형사 역할 맡았지만 늘 새로움 추구

[서울와이어 글렌다박 기자] 2022년 새해 첫 한국영화 개봉작인 '경관의 피'는 지난 5일 극장 개봉 당일 거침없이 흥행하던 외화 '스파이더맨:노 웨이 홈'의 독주를 막아내며 박스오피스 1위에 등극했다. 외화의 공세 속에 의미 있는 성과를 보여준 '경관의 피'의 뒷배경엔 배우들의 압도적인 연기와 긴장감 넘치는 스토리 전개가 있다. 조진웅, 최우식, 박희순, 권율, 박명훈 등 존재감 있으면서 카리스마 넘치는 배우들은 최고의 합으로 한국영화에서 한 획을 그을 범죄수사물을 만들어냈다.

영화 '경관의 피' 메인 포스터. 사진=㈜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제공
영화 '경관의 피' 메인 포스터. 사진=㈜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제공

'경관의 피'는 무서울 것 없는 경찰 ‘박강윤’과, 그를 감시하기 위해 언더커버 임무를 시작한 경찰 ‘최민재’(최우식)가 한 팀으로 만나 서로를 의심하면서 팽팽한 관계 속에 사건을 수사하는 과정을 그렸다.

극중 출처 불명의 막대한 후원금을 지원받는 ‘박강윤’ 역을 맡은 배우 조진웅은 영화 개봉 직후 화상으로 진행된 인터뷰에서  "관객분들이 영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계시다는 것만으로도 기분이 좋다"며 작품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기약 없이 미뤄졌다가 개봉한 것에 대해 감격 어린 소감을 밝혔다.

영화 '경관의 피' 스틸. 극중 '박강윤' 역을 맡은 배우 조진웅. 사진=㈜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제공
영화 '경관의 피' 스틸. 극중 '박강윤' 역을 맡은 배우 조진웅. 사진=㈜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제공

-드라마 '시그널', 영화 '끝까지 간다', '독전'에 이어 '경관의 피'까지 각각 다른 색깔의 형사를 연기했다

▲그때그때 작품에 집중하는 것 같다. '경관의 피'에서는 굉장히 날이 서 있다. 영화 초반부를 접한 관객들이 ''박강윤'이 빌런인가' 생각할 정도로 자신의 신념과 소신을 움켜쥐고 가는 인물이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강윤'의 대사는 어느 순간 허심탄회하게 내뱉는 '사람이 어떻게 맨날 이겨'라는 한 마디인데  '강윤'의 참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다.

-영화 '독전'에 이어 마약범을 잡는 형사 역을 맡았는데 '경관의 피'에서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독전'에서는 상대가 '이 선생' 한 명이었다면 '경관의 피'는 돈도 상상 못 하게 많은 상위 1%의 조직이 수사 대상이다. 만나는 것 자체가 어려워서 그들의 세상에 들어가 어울려 소통을 하기 위해 '강윤'은 철두철미하게 움직이는 지략가이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 국내에서 손에 꼽히는 고급 슈트를 입어보기도 했고 덕분에 슈트핏도 자랑해보게 되었다.

영화 '경관의 피' 스틸. 극중 '박강윤' 역을 맡은 배우 조진웅. 사진=㈜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제공
영화 '경관의 피' 스틸. 극중 '박강윤' 역을 맡은 배우 조진웅. 사진=㈜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제공

-'강윤'이 가져가는 신념이라면 '원칙주의'와 '효율추구'인데 사람 '조진웅'은 어떤 선택을 했을 것 같나

▲내가 연기하는 스타일에 '박강윤'의 면면이 없잖아 있다. 대본에서 캐릭터에 대해 요구하는 어느 지점까지는 어떤 방식으로든 다가간다. '뼛속까지' 연기하는 인물로 내가 흡수되지 않으면 현장에서 연기할 때 몰입하는 데 힘든 게 있다. 그래서 내가 만족할 만한 캐릭터 구축에 도달할 때까지 감독님과의 소통, 제작진과의 교류, 상대 배우와의 협연 등 어느 하나 빠짐없이 달리는 게 있다. 그런 '효율추구' 부분을 보자면 '박강윤'과 비슷한 점이 있다.

-관객들이 범죄 영화 속 배우 조진웅에게 기대하는 힘이 있는 만큼 이미지 한계에 대한 우려는 없는지

▲분명한 것은 어떠한 감독도 지난 작품의 캐릭터를 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시그널'에서 '이재한 형사'가 했던 것처럼 이 작품에서 해줘" 같은 식으로 말하는 감독은 없다. 모두가 새로운 것을 원하고, 어떤 경우엔 방향을 모색해 놓고 있기도 하다. 같은 장르, 같은 배역을 맡을지라도 감독이 작품에서 무엇을 그리고 싶어 하는지, 작가는 시나리오에서 어떤 캐릭터를 묘사하고 싶어 하는지 충분한 소통을 해야 한다. 물론 캐릭터 구사에 있어 쉽지 않은 과정이지만 변별력이 관건이라 생각한다.

[인터뷰 ②에서 이어집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