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2.6%에서 2.4%로 하향 조정했다.(사진= 연합뉴스 DB)

 

[서울와이어 염보라 기자]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2일 올해 한국 경제가 2.4% 성장하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전망치(2.6%)보다 0.2%포인트 하향 조정된 수치다.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내린 건 KDI뿐이 아니다.

앞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6%에서 2.4%로, 한국은행과 LG경제연구원은 2.5%에서 2.3%로 낮춘 바 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2.5%에서 2.4%로, 무디스는 2.3%에서 2.1%로 하향했다.

KDI는 22일 발표한 '2019년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한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4%로 내다봤다. 내년에는 완만하게 회복되면서 2.5% 내외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KDI는 최근 우리 경제가 투자 위축을 중심으로 내수의 증가세가 둔화하는 가운데 수출이 감소하면서 전반적인 경기가 부진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고 진단했다.

수출은 글로벌 경제의 성장세가 둔화하고, 반도체 경기 호황이 작년 이후 조정 국면에 진입하면서 올해 들어 부진이 심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금액 기준 수출은 올해 6.0% 감소할 것으로 봤다. 내년에도 2.3%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경상수지 흑자는 올해 582억 달러에서 내년에는 559억 달러로 축소될 것으로 예상했다.

KDI는 올해 설비투자가 4.8%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건설투자는 올해 4.3%에 이어 내년에도 3.1% 각각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민간소비의 경우 올해 2.2%, 내년 2.4% 증가에 그칠 것으로 봤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올해 0.7%, 내년 1.3%로 점첬다.

취업자 증가폭은 올해 20만명 내외로 예상했다. 다만 내년에는 10만명대 중반 수준으로 둔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업률은 올해 3.9%, 내년 3.8%로 지난해(3.8%)와 유사한 수준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KDI는 우리 경제의 성장세에 영향을 미칠 요인으로 미·중 무역분쟁의 심화, 반도체 수요 회복시기와 정도 등을 꼽았다. 이와 함께 국내 노동시장 정책 변경에 따른 단기적 부작용을 하방위험으로, 사회안전망 강화 정책의 가시적 성과 확산을 상방위험으로 꼽았다. 이에 따라 0.1∼0.2%포인트 상·하방 조정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다.

KDI는 이같은 대내외경제 여건을 감안할 때 단기적으로는 대내외 수요 위축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조합을 확장적 기조로 유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나아가 중장기적으로 경제정책은 생산성 제고를 목표로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KDI는 "생산성 제고가 성장잠재력 강화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우리 경제의 비효율적 요소들에 대한 개혁을 꾸준히 추진하되, 형평성과 효율성을 균형있게 높이는 방향으로 경제 구조를 개선하는 정책의 설계와 실행의 속도를 높여가야 한다"고 밝혔다.

bora@seoulwire.com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