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수 기자
김민수 기자

[서울와이어 김민수 기자] 지난 28일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이 통과됐다.

 

미국은 전인대 전체회의 이전부터 홍콩의 특별 지위 박탈과 홍콩자치권 조사 등 강력 대응 의지를 밝혀지만 중국은 이날 찬성 2878표, 반대 1명, 기권 6명이라는 압도적 표차로 통과시켰다.

 

미·중간 갈등은 중국이 보여준 표 차이만큼 그 골이 더욱 깊어졌고 ‘신냉전’ 시대 도래까지 우려하는 목소리들도 터져 나오고 있다.

 

홍콩 민주화 진영은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 원칙이 무시됐다며 홍콩인의 자유와 권리 수호를 위한 반중 시위를 이어 갈 것을 선언했다.

 

미국이 중국의 홍콩보안법 제정에 맞서 홍콩에 부여했던 경제·통상 부문의 특별 지위를 박탈할 경우 관세, 화폐 태환, 비자 발급, 문화·교육 교류 등에서 홍콩이 누렸던 혜택이 모두 사라질 수 있다.

 

한때 ‘동양의 진주’로 불리던 홍콩의 시대를 접어야 하는 절대절명의 위기에 처한 셈이다.

 

뿐만 아니라 ‘아시아의 금융 허브’로서의 역할도 막을 내리게 될 것이란 전망이다. 뉴욕(미국), 런던(영국)과 함께 ‘세계 3대 금융 허브’로 발돋움한 홍콩의 경제적 위상에 큰 충격이 불가피해 보이기 때문이다.

 

홍콩 달러와 미국 달러 간 자유로운 환전이 어려워지게 되면 금융산업 경쟁력이 약화되고 외국 자본과 인재 유출이 빨라질 것이다. 이런 상황은 자본과 기업은 금융환경이 유사한 싱가포르로, 인재들은 언어가 비슷한 대만으로 떠날 것이란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 된다.

 

하지만 마냥 비관적으로만 생각할 건 또 아니다.

 

이미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홍콩 증시에서 기업공개(IPO)를 갖고 상장한 기업체 수는 중국이 미국을 훨씬 앞섰기 때문이다.

 

이는 미국 등 서방 자본이 일부 홍콩을 떠난다고 하더라도 정치적 안정을 되찾은 홍콩에 중국 본토 자본이 몰려들 경우 그 충격을 충분히 상쇄하고 금융 허브로서의 위상을 유지할 수 있다는 얘기이다.

 

1997년 홍콩 주권반환 후 홍콩으로 흘러들어오는 자본의 30%가량은 중국 본토 자본으로, 지난 2018년 중국 본토 자본이 홍콩에 투자한 금액은 381억 달러(약 47조원)에 달해 전체 홍콩 유입 자본의 36%를 차지했다.

 

이처럼 중국 본토의 막대한 자본이 홍콩에 흘러들어오고, 안정을 찾은 홍콩이 선순환을 일으킨다면 다국적 기업과 중국 본토의 가교역할을 하는 홍콩은 장기적인 발전을 지속할 수 있을 것이며 다시 한번 아시아 정상에 우뚝 서게 될 것이다.

 

홍콩 국가보안법이 통과된 이 시점에 어느 쪽으로 생각하든 적지 않은 경제적 충격과 치러야 하는 제도적 진통이 만만치 않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다만 주변국과의 조화로운 해결책으로 모두에게 최선이 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길 지켜볼 뿐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