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수소경제위원회에서 발언하는 김부겸 국무총리(사진은  연합뉴스 제공)
26일 수소경제위원회에서 발언하는 김부겸 국무총리(사진은  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김종현 기자] 정부가 오는 2050년까지  전체 에너지원의 33%를 전량  청정수소로 공급하기로 했다.

정부는 26일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로 서울 롯데호텔에서 제4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열고 청정수소로의 에너지 대전환을 담은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이애 따르면 정부는 2050년에 필요한 수소 2790만톤 전량을 청정수소로 공급하기로 했다. 화석연료발전을 수소로 전환하고,  버스와 선박,  드론 등  수소 모빌리티를  다양화하며,  철강,  화학 등 산업공정의 연료도 수소를 쓰기로 했다.

또 국내 생산과 우리  기술 및 자본으로 생산한  해외  청정수소를 도입해 청정수소 자급률을 60%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수소경제를 생활화하기 위해  우선 2025년까지 전국 226개 시군구에 1기  이상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기로 했다.  수소차 생산능력은 2050년까지 526만대로 늘리고, 2030년까지 내연기관차 수준으로 성능을 끌어올리기로  했다.

또 2040년까지 수소의  생산과  물류,  소비 인프라를 갖춘 14개의 수소항만을  갖추기로 했다.

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를 테스트베드로 활용해 수소 신기술을 실증하기로 하고, 울산은 수소모빌리티, 강원은 액화수소,  충남은 수소에너지, 충북은 그린수소, 부산은 암모니아 선박 특구로 지정하기로 했다.  

이렇게 할 경우 청정수소는 2050년 최종에너지  소비의  33%,  발전량의  23.8% 비중을 차지하며, 1319조원의  경제효과와 56만70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온실가스  약 2억톤 이상의 저감효과가 기대된다.

김 총리는 "수소경제는 누구도 가보지 않은 길로 모든 나라에게 출발선이 동일한만큼, 정부와 기업, 국민이 모두 힘을 모으면 머지않아 우리나라가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2020년  기준 자급률 0%인 청정수소의 자급률을  향후  30년간 60%로 끌어올린다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제다.  

청정수소는 그린수소와 블루수소로 나뉘는데 그린수소는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수소다.  블루수소는 천연가스에서 추출한 수소나 부생 수소에서 탄소를 포집·저장해 탄소 배출을 줄인 수소다. 

정부는 재생에너지로 청정수소를 대량 생산해 생산단가를 2030년엔 kg당 3500원, 2050년에는 kg당 2500원으로 낮춘다는 계획이지만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고효율의 수전해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또 탄소 포집·저장기술(CCS)을 통해 탄소를 제거한 블루수소를 2050년까지 200만t 생산하기로 했으나 이 기술 역시 언제 실용화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