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 이동화 기자] 한·중·일과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즉 ‘아세안+3’이 금융위기 시에 자금을 서로 융통해주는 통화 대상에 엔화와 위안화를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역내 무역·투자가 증가하며 아시아 통화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달러에만 의존하지 않는 다자간 자금 공급 체제를 만들기 위해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위안화 국제화를 노리는 중국의 주도하에 안전망 정비 작업이 시작됐다며 엔화 사용 확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아세안+3은 1998년 아세안 10개국(말레이시아·태국·싱가포르·인도네시아·필리핀·베트남·브루나이·캄보디아·라오스·미얀마)과 한국·중국·일본이 설립한 국제회의체로 주로 금융·경제 문제에 대한 역내국간 상호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신문은 다음 달 2일 피지에서 열리는 아세안+3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 공동 의장국인 태국과 중국이 발표한 공동성명 초안에 “(다국간 자금을 융통하는) 치앙마이 이니셔티브를 강화하기 위해 현지 통화를 사용하는 게 하나의 선택 사항이 될 것”이라는 명시돼 있다고 보도했다.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hiang Mai Initiative·CMIM)는 아세안+3이 외환위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한 통화교환협정으로 위기에 빠진 역내 국가가 요청하면 달러와 해당 국가 통화를 교환해준다. 달러를 해당 국가 통화로 매입하는 환율 개입을 통해 통화가치 급락을 억제하는 것이다. 달러 스와프 규모는 2400억 달러에 달하지만 지금까지 CMIM가 발동된 예는 없다.

아세안+3은 아시아 통화를 위기 시 스와프 대상에 추가하는 것이 아시아 통화 이용 촉진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위안화의 국제화를 경계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반발에 부딪혀 실현되기까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아세안+3이 CMIM 확충을 논의하는 것은 향후 닥칠 수 있는 위기에 대비하기 위한 안전망 정비 목적도 있다. 아세안 각국은 외화준비액을 늘리는 등 위기 대응을 추진하고 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가 다시 발생할 경우 위기가 전 세계로 파급될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이미 양자간 스와프 협정에서 엔화나 위안화로 자금을 융통하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만 CMIM 결제통화에 참가국 통화를 추가하면 위기 대응을 위한 안전망이 편의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