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 이동화 기자] 미국 상무부가 15일(현지시간) 중국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에 대한 금수 조치를 결정하면서 회사 경영에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지난해부터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이 거세지면서 이미 부품 재고를 확보해놓았기 때문에 당장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지만 미국 기업과의 거래가 중단되는 만큼 부품 확보에 대한 불확실성이 우려되고 있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정보통신 기술과 서비스를 보호한다며 ‘정보통신 기술 및 서비스 공급망 확보’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미 상무부는 화웨이와 70개 계열사를 거래 제한 기업 명단에 올렸다.

미국 기업과 거래하려면 연방정부 승인을 받아야 하는 기업 리스트(Entity List)에 등재되면 화웨이 등은 미국 정부의 허가 없이 미국 기업과 거래할 수 없다. 다시 말해 화웨이가 거래 중인 미국 업체들에게 부품을 공급받거나 제품을 판매하지 못하게 된다는 의미다.

화웨이는 미국을 비롯한 해외 기업으로부터 약 670억 달러 규모의 부품을 공급받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연간 100억 달러 규모의 부품을 수입하고 있는데 반도체 의존도가 높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미국의 화웨이 제재가 며칠 뒤 발효되면 주력 분야인 스마트폰과 통신회사용 통신장비 생산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화웨이가 지난해 말 발표한 92개 주요 거래처 중에서 미국 기업이 30사 이상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화웨이의 미국 거래 기업 중에는 퀄컴·인텔·브로드컴 등 반도체 업체와 마이크로소프트·오라클 등 소프트웨어와 시스템 업체도 포함돼 있다.

신문은 가장 큰 타격은 ‘반도체 조달’이라며 일부 스마트폰 모델 생산 중단 가능성을 제기했다. 하이쓰반도체(海思·하이실리콘)라는 반도체 회사를 보유한 화웨이가 스마트폰용 반도체의 절반 가량을 자급하고 있지만 퀄컴 반도체를 대체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한국과 일본, 대만은 물론 유럽연합(EU) 등 화웨이에 제품을 공급하는 업체들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화웨이 제재에 나선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은 미국 기업뿐만 아니라 동맹국들의 거래 중단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신문은 이번 행정명령은 미국과 동맹국 기업들에게 화웨이와의 거래 금지를 촉구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일본 기업에는 큰 타격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후지쓰와 소니, 도시바메모리, 파나소닉, 무라타제작소 등이 화웨이에 전자 부품과 카메라를 납품하고 있다.

한편 런정페이(任正非) 화웨이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올 1월 “미국의 제재를 받아도 우리는 ZTE(중싱통신)처럼 되지 않는다”며 “제재가 있어도 영향은 크지 않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이어 미국이 실제로 제재를 발동하면 미국 외 국가로부터 조달을 확대하고 반도체 등도 자체적으로 개발·생산하겠다고 강조했다.

화웨이는 올 초부터 일본 기업에 스마트폰 부품 공급을 2배 정도 늘리도록 요구하는 등 재고를 늘려 부품 조달에 만전을 기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다만 연간 매출액 7212억 위안(약 1071억 달러·121조6000억원) 규모의 거대 기업이 미국과 동맹국을 제외한 국가로부터 충분한 부품을 확보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