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하나의 생활 방식이 된 '언택트'가 디지털 혁신 기회로 탈바꿈한다./사진=김용지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하나의 생활 방식이 된 '언택트'가 디지털 혁신 기회로 탈바꿈한다./사진=김용지 기자

 

[서울와이어 전지수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하나의 생활 방식이 된 '언택트'가 디지털 혁신 기회로 탈바꿈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차 추경 예산으로 총 27개 사업·기금을 위한 8925억원을 투입한다고 3일 밝혔다. 과기부가 3차 추경의 핵심인 '디지털 뉴딜'의 뼈대를 맡으면서 과기부 3차 추경 예산 93.3%(8324억원)가 디지털 뉴딜 추진에 투입됐다.

 

디지털 뉴딜의 최우선 사업은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AI) 등 'D.N.A' 생태계 강화다. 디지털 경제의 근간이 될 데이터를 수집·분석·유통할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를 올해 100개 구축할 예정이었으나 405억원을 더 투입해 150개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중소기업·스타트업 등을 위한 AI 데이터 가공은 추경으로 489억원을 더 투입해 지원을 늘리고, AI 학습용 데이터도 확대한다.

 

코로나19로 바이오 연구 중요성이 제고된 만큼 300억원을 투입해 대학 등 연구기관에 데이터 엔지니어 일자리를 2000개 신설하고 교육 체계도 꾸린다. 연구 안전을 위해 연구실 유해인자 전수조사도 진행하고, 연구실 안전관리 정보시스템을 개선할 방침이다. 대규모 공공 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과학기술 기계학습(머신러닝) 데이터 구축에도 348억원이 투입된다.

 

과기부는 모든 산업 분야에 5G와 AI의 융합을 확산하는 데도 1371억원을 추가 투입한다. 중소기업에 AI 솔루션 구매 등을 지원하는 바우처 사업을 대폭 늘리고, 공공 영역에 5G 서비스와 인프라를 시범적으로 확산한다.

 

5G·AI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확산의 튼튼한 기반이 되는 것은 인력 양성이다. 과기부는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콘텐츠 제작 지원과 AI·SW 인재 양성 규모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AI·블록체인 등 핵심 기술의 실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200억원을 투입해 'ICT 이노베이션스퀘어'가 조성된다. 수도권보다는 지역 위주로 올해 6800명의 인력을 양성한다. 제조·자동차·의료 등 기존 산업에서도 디지털 인력을 육성한다. 산업계 경영진(CEO·CIO)과 중간 관리자급 인력을 대상으로 AI 교육을 실시한다.

 

지역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위해 올해 농어촌 마을 650곳에 초고속 인터넷망을 구축하고, 공공 와이파이 장비를 교체·확대할 예정이다.

 

보안성이 뛰어난 '양자암호통신망'에는 올해 150억원을 추가 투입해 글로벌 시장을 선점한다는 각오다. 행정망·국가통신망·병원·스마트공장 등에 양자 네트워크를 시범 구축한다.

 

과기부는 'K-방역' 고도화에는 397억원을 추가 투입, 코로나19 치료제·백신 후보 물질이 신속하게 임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연구 개발을 지원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기업 등이 보유한 기술로 이동형 클리닉 시스템과 스마트 감염보호장비 등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