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차례로 유병준 교수(서울대) 임정욱 대표(티비티),이영 의원(미래통합당),  윤영찬 의원(더불어민주당)/사진=전지수 기자
왼쪽부터 차례로 유병준 교수(서울대) 임정욱 대표(티비티),이영 의원(미래통합당), 윤영찬 의원(더불어민주당)/사진=전지수 기자

 

[서울와이어 전지수 기자]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은 거스를 수 없을 것이며 IT 산업은 이를 기회로 삼고 성장할 것이다."(임정욱 대표/티비티)

 

6월24일 오전 10시에 진행된 한국인터넷기업협회(이하 인기협) 주최의 간담회에서 IT 산업의 새로운 모멘텀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제시됐다.

 

인기협은 21대 국회 개원을 맞이해 IT 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입법, 정책 등 다양한 차원으로 찾아보는 취지로 'IT 산업 新 모멘텀 창출을 위한 간담회'라는 타이틀로 제62회 굿인터넷클럽을 진행했다.

 

본 간담회에는 유병준 교수(서울대), 산업계에서는 임정욱 대표(티비티)가 참석, 발제를 진행했으며 21대 국회의원 중 IT 산업과 인연이 깊은 윤영찬 의원(더불어민주당), 이영 의원(미래통합당)이 간담회의 패널로 참석해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한국 IT 산업과 IT정책 산업영향 분석'을 주제로 첫 번째 발제를 맡은 유병준 교수는 새로운 모멘텀 형성을 위해서는 '정책 차원의 획기적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유 교수는 "디지털 기업, 플랫폼 기업이 결국 미래를 지배하게 될 것이며 해당 산업의 규제 부작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라며 "인터넷 산업 관련 법안은 국민 효용 입장에서의 입법의 가치가 측정될 때 관련 산업도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두 번째 발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ICT산업의 기회' 를 주제로 임정욱 대표가 발제를 진행했다. 임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가속화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디지털과 데이터관련 산업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는 디지털 중심으로 산업 구조가 개편되고 있으므로  IT 산업의 영향력이 커질 수 밖에 없다."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IT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강조했다.

 

이어서 진행된 간담회는 박성호 사무총장(한국인터넷기업협회)가 사회를 맡았으며 두 발제자와 윤영찬 의원, 이영 의원이 패널로 참석해 ▲디지털 뉴딜 ▲ 데이터 산업 활성화 ▲인터넷 산업 패러다임 변화 ▲ 규제 및 글로벌 경쟁력 등 IT 산업 전반에 모멘텀을 찾아볼 수 있는 다양한 주제에 관해 의견을 나눴다.

 

디지털 뉴딜과 관련해 윤영찬 의원은 "디지털 뉴딜은 데이터, AI 등에 과감한 투자로 인해 새로운 산업이 창출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국가가 해줘야 할 것은 인재양성과 같은 제도적 지원"이라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이어 "디지털 뉴딜의 핵심은 산업이 창출되고 일자리가 만들어져서 산업 구조 자체가 전환되게 이끌어가는 것"이라며 디지털 뉴딜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이어 그는 "국가는 (디지털 뉴딜)에서 마중물의 역할을 맡는다"고 말했다. 사람들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가공·교환하고 거래하는 방법에 대한 제도적인 틀을 마련해야한다는 것이다.

 

이영 의원은 IT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해 "기존에 하드웨어나 전자 위주로 돌아가던 산업군이 코로나19를 통과하면서 소프트웨어쪽으로도 많이 기울었다"고 평가했다. 재택근무와 온라인 수업 등의 비대면이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되면서, 업계와 대중이 데이터의 중요성을 '일상'에서 느낄 기회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는 "글로벌 기업들의 성공적인 콘텐츠, 기술 서비스는 제가 창업자로 있을 때 이미 국내에도 있었던 것들이 많다"라고 소회를 밝히며 "입법 차원에서 당장의 현안에 집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산업에 대해 장기적인 안목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입법 차원에서의 지원 의지를 언급했다.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이 의원은 "국회 내에서도 급변하는 기술기반 경제체제를 빠르게 이해해 산업 변화를 견인할 방향을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IT 산업의 규제에 관련해서도 '발전적인 방향'이 도모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윤 의원은 "글로벌 기업을 규제하지 말자는 것이 아니라, 국내 기업도 동일하게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이며, 실효성 있는 규제 환경을 이끌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글로벌인터넷사업자와의 '역차별' 이슈가 국내 업계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만큼, 문제는 분명히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

 

윤 의원은 "디지털 뉴딜 시대가 도래한 만큼 이는 코로나19 이후 정책방향의 큰 틀로 여겨진다"면서, "오는 7월에는 (디지털 뉴딜과 관련한)구체적인 정책이 기재부에서 발표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로서는 데이터 , AI, 네트워크 등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이뤄질 계획이며, 새로운 산업들이 창출될 수 있도록 시장을 읽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 의원 역시 "글로벌 기업과 국내 기업의 역차별 문제에 대해서는 십분 공감한다"면서, "특정 규제가 국내 기업의 내수를 지킬 수 있는 부분도 있으므로 최대한 균형적인 관점에서 효율적인 방향으로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구산업과 신산업간의 충돌은 더욱 커질 것"이라며 "함께 가는 방법에 대한 슬기로운 솔루션들을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해관계자 충돌을 넘어, 어떤 완충지대를 형성할 수 있을까를 고민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