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 이동화 기자] 미중 무역전쟁은 지난 2018년 7월 6일(현지시간) 미국이 중국의 지식재산권 침해를 이유로 34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서 시작됐다. 

미국의 관세폭탄에 중국도 대두(콩)와 자동차 등 미국산 제품(340억 달러)에 동일한 보복 관세를 매겼고 미 무역대표부(USTR)는 8월 23일 160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와 화학제품 등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며 맞섰다.

중국 상무부가 이번에도 미국과 같은 규모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월 24일 가구와 가전제품 등으로 대상을 확대하며 2000억 달러에 대해 10% 관세를 부과했다.

이에 중국이 또다시 600억 달러 규모 미국산 LNG 등에 10% 관세 부과하며 세계 양대 경제대국의 관세 분쟁은 1년 넘게 장기화했다.

갈등 해소를 위한 협상이 난항을 거듭하자 미국은 지난해 5월 10일 2000억 달러에 대한 관세율을 10%에서 15%로 인상했고 중국은 6월 1일자로 6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 관세율 5~25%로 인상했다.

무역합의를 위한 양국의 대화는 이어졌지만 중국의 농산물 수입 약속 불이행을 비난하던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9월 1일부터 3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한다고 경고했다.

추가 관세가 발동할 경우 연간 5000억 달러에 달하는 중국산 제품 전부에 관세가 부과돼 시장의 우려가 확대됐지만 미 USTR은 1100억 달러에 대해 15% 관세를 부과하고 일부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시기를 12월 15일로 연기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과 중국은 지난해 12월 13일 무역합의를 이뤘다고 공식 발표했다. 첫 관세폭탄을 투하한 지 18개월 만에 미중 무역전쟁은 휴전에 들어가며 전환점을 맞게 된 셈이다.

시장은 오는 11월 대선에서 재선을 노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내수·수출 동반 침체로 고용 불안 문제까지 거론되는 경제 위기를 우려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기대가 일치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미국은 1단계 합의에 따라 지난해 12월 15일로 예정했던 1600억 달러 규모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했다. 지난해 9월 부과된 1100억 달러 규모 수입품 관세는 15%에서 7.5%로 낮추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2500억 달러 규모의 중국 제품에 부과해오던 25%의 고율 관세는 그대로 유지된다.

양국은 15일 1단계 무역합의 서명식 후 2단계 무역협상에 돌입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