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물류자회사 설립 관련 합동기자회견 /사진=이현영기자
포스코 물류자회사 설립 관련 합동기자회견 /사진=이현영기자

 

[서울와이어 이현영 기자] 포스코 물류자회사(포스코GSP) 설립 결정에 해운물류업계가 한 목소리로 반대했다. 해운물류업계는 결정 철회를 재차 촉구했다. 

한국해양산업총연합회는 19일 오후 서울 광화문 포시즌즈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포스코의 물류주선업 진출은 결국 해운업으로의 진출로 귀결된다”면서 “계약을 체결하는 물류 자회사가 선사들에 행할 영향력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는 해운업 진출과 별반 다르지 않다”고 주장했다.

 

포스코는 지난 주 그룹 내 물류 관련 업무를 통합 운영하는 자회사 ‘포스코GSP’를 올해 안에 출범 시킬 것이라고 발표했다.

 

포스코GSP는 포스코와 그룹사에서 물류 업무를 담당하던 임직원들이 모여 기존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운송물량 통합계약과 운영관리를 담당하고 물류 파트너사들의 스마트·친환경 인프라 구축을 지원해 물류 효율과 시너지를 제고할 계획이다.

 

포스코는 물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목적일 뿐 해운업 진출 계획이 없다고 못 박았으나 관련 업계의 불안은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한해총은 포스코의 물류 자회사 설립이 3자물류 성장을 저해하고 포스코와 물류전문기업의 물류시장질서에 혼란을 부추길 것이라고 반발했다.

강무현 한해총 회장은 최정우 포스코 회장을 향해 “다시 한 번 간곡히 요청드린다. 더불어 상생, 공정가치 창출이라는 포스코의 기본 경영철학을 바탕에 역행하는 물류자회사 설립을 철회하고 해운항만 물류업계와 함께 지혜를 모아 상생안을 마련해 줄 것을 간곡히 부탁한다”고 호소했다.

강 회장은 “포스코의 행보는 장기 불황 여파로 극심한 어려움에 처한 해양산업계 현실을 고려할 때 시기적으로 매우 부적절한 처사다”면서 “상생차원에서도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해총은 포스코가 다른 재벌기업처럼 물류비 절감을 위해 물류자회사를 설립하면 ‘통행세’만을 취할 뿐 전문적인 국제물류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여지는 제한적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과거 포스코가 대주상선으로 해운업에 진출했으나 5년 만에 고배를 마시고 철수한 사례가 있는 점, 포스코의 물류비가 매출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4%로 국내 제조 대기업 평균인 6.6%보다 낮은 점 등을 들어 물류자회사 설립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대기업의 기형적 급성장에 대한 우려도 제기했다. 
김영무 선주협회 상근부회장은 “포스코의 물류주선업 진출은 다른 대형화주인 한전과 가스공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대기업의 시장지배(컨테이너)에 더해 공기업의 시장지배에 따라 물류생태계 혼란이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DHL, 페덱스 등 세계적인 기업은 육상, 해상 및 항공 등 물류수송수단을 활용해 직접 물류업무를 진행하는 반면 국내 대기업 물류자회사는 모기업과 3자 물류업계 사이에서 통행세 위주로 성장하다보니 한계가 있다”며 “포스코가 물류자회사 설립을 강행할 경우 신뢰관계가 와해되고 물류전문기업의 경쟁력은 물론 국가 물류경쟁력 약화를 초래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임현철 항만물류협회 상근부회장도 “포스코의 물류자회사 설립은 대기업의 골목상권 침해와 마찬가지이며 비전문가가 전문가의 영역을 침해하는 것”이라면서 “철을 만드는 것은 포스코가 하고 물류는 물류전문기업에 맡기자”고 당부했다.

이태하 해상선원노조 국장은 “저가 경쟁에서 살아남으려 선원의 임금과 복지를 줄여온 해운업계에 벌써 노사갈등 조짐이 보이고 있다”며 “포스코 물류자회사는 그 자체로 슈퍼 갑의 탄생이다. 강력히 반대한다”고 말했다.

강 회장은 “물류효율화는 내부 조직 개편으로 충분히 꾀할 수 있다”며 “자회사를 별도로 만들면 중간에서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물류자회사 설립을 철회하고 대량화주와 해운항만물류업계 간 상생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포스코와의 대화를 언급하며 “한국에서 철강제품을 미주로 수송했다가 들어올 때 빈 배보다는 곡물을 싣고 들어오면 더 효율적이지 않냐, 그걸 하려고 한다고 하더라”며 “그게 해운회사 만든다는 이야기다”라고 말했다.

이어 “자회사를 만들면 지금 회장 있을 때는 약속을 지켜줄지 몰라도 바뀌면 조직의 특성상 그것을 막을 수 없지 않겠나”고 우려했다.

 

이현영 기자 hyeon0e@seoulwire.com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