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이어 기아도 강성 지부장 가세
온라인판매 반대, 완전월급제 등 전기차 전환 제동

현대차에 이어 기아 노조에 강성 지부장 후보가 당선돼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사진=기아 제공

[서울와이어 김상혁 기자] 새롭게 당선된 현대자동차와 한국지엠, 기아의 노조 지부장이 모두 온라인 판매 반대와, 전기차 국내 생산, 완전 월급제를 외친다. 오프라인 영업직원의 고용 불안과 전동화 전환 시대에 맞는 일자리 쟁취, 전기차 생산 확보, 고정된 변화된 임금체계로 안정을 꾀하려는 목적이다.

28일 전국금속노동조합 산하 기아차지부에 따르면 노조 선거에서 홍진성 후보가 지난 25일 27대 지부장으로 당선됐다.

홍 당선인은 온라인 판매 저지, 소하리 공장 전기차 전용 생산, 완전 월급제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앞서 당선된 안현호 현대차지부, 김준오 한국지엠 지부장과 같은 공약이다. 

◆글로벌 추세인 온라인 판매, 노조에 가로막혀

홍 당선인이 온라인 판매를 반대하는 이유는 영업점 판매 감소와 영업직원들의 고용 불안을 불러일으킨다는 데 있다. 온라인 판매로 재미를 보면 앞으로 출시될 모델과 주력 생산 모델도 온라인화 될 수 있다는데서 오는 불안감이다. 

올해 3월 기아는 EV6 온라인 판매를 꾀했지만 노조 측이 즉각 반발하며 반대 입장을 내놓아 무산됐다. 노조측은 EV6가 전 차종 온라인 판매를 전제하는 것이 아니냐며 의구심을 드러냈고 파업을 암시하는 등 강경한 모습을 보였다. 현대차도 캐스퍼를 온라인으로 판매하지만 노조가 강력히 반대 중이다. 

사측은 EV6의 사전계약으로 온라인 판매와 다르다며 한발 물러섰고 캐스퍼 외 다른 차종 판매는 없다며 노조를 달랬다. 

한국지엠 역시 볼트 EV 온라인 판매를 진행했지만 노조 반발이 심해 계속 눈치를 보는 중이다. 2016년 아베오 온라인 판매도 이벤트성이었지만 노조의 강한 반대에 부딪친 적이 있다. 

온라인 판매는 편의성 확보와 수요 예측, 추가 물량 등 이점이 많다. 또한 시공간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 접근성도 얻는다. 이런 장점 때문에 온라인 판매는 글로벌 추세로 테슬라나 메르세데스 벤츠, BMW, 아우디, 르노삼성 등이 실시 중이다. 

다른 브랜드가 비대면 시장에 진입한 상태에서 오프라인 판매를 고집한다면 경쟁력이 뒤처질 수 있다. 하지만 노조 측이 강력하게 반대 입장을 고집하면 온라인 판매를 진행하기 어렵다. 자칫  파업이라도 실시하면 생산 차질이 생겨 전 모델이 피해를 입는다. 

◆전기차 전환 속도 내야하는데, 밥그릇 확보에 힘쏟아

소하리 공장 전기차 전용 생산과 완전 월급제는 현대차그룹의 전동화 전략에 제동이 걸릴 수 있는 공약이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글로벌 경쟁력 강화 목적으로 8조원을 투입해 미국 현지에서 전기차를 생산하겠다고 발표했다. 미국산을 우선하는 '바이 아메리칸' 정책에 따른 조치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전기차 전환을 당면 과제로 삼고 도심항공교통, 로보틱스, 자율주행 등을 미래 사업으로 내걸며 주력 차종을 전기차로 전환했다. 미국처럼 국내에서도 전기차로의 전환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국내 생산이 없다면 점차적으로 일이 줄어들고 직원들 자리도 위협받게 된다. 

더구나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 대비 부품수가 30~40% 적다. 생산 공정도 간소화돼 인력 감축이 불가피하다. 노조 입장에선 생산 공정 간소화, 국내 생산 감소가 고용 불안으로 이어지는 상황을 맞닥뜨리게 된다.  

한국지엠은 지난달 GM 본사 차원에서 국내 전기차 생산이 없다고 못박으며 투트랙 전략을 발표했다. 국내 생산은 내연기관뿐이고 전기차는 해외에서 들여와 파는 형식이다. 세계는 전동화 전환 추세인데 한국지엠은 미래 성장 동력 발판이 없어 위기감이 고조될 수밖에 없다.  노조 측이 전기차 생산을 공약으로 내세우게 된 배경이다. 

잔업 여부와 상관 없이 30시간치 수당을 받겠다는 것이다. 전기차 생산으로 돌입하면 공정이 간소화되고 근무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이는 시급제를 유지할 경우 특근 등이 감소하며 받을 수 있는 수당이 제한됨을 의미한다. 노조의 주장은 변화된 환경에 맞게 월급제로 전환, 안정적으로 임금을 받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업계 관계자는 “회사가 추진하는 변화에 노조가 대응할 방법이 많지 않다는 것이 노조 강성화의 이유로 보인다“고 언급하며 “전동화로 자동차산업의 생산 시스템 변화가 불가피한 것이 현실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