줓ㅏ탕
천성윤 기자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매일 밤 서울시내 다세대 주택 골목 곳곳에는 주차 전쟁이 일어난다. 아파트도 마찬가지, 주차장 자리가 없어 외부주차를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지하 주차장이 없거나 협소한 구축 아파트의 경우 주차문제 때문에 이사를 가는 경우도 있다. 주차문제에 불만을 갖은 사람이 주차장 입구막기를 하는 일도 종종 뉴스에 나온다. 심지어 주차 시비로 폭행이나 살인까지 일어나는 살벌한 나라다. 그 정도로 한국에서 주차는 예민한 문제다. 

주차문제는 또 다른 문제를 파생한다. 전기차 기피 현상이다. 한국의 친환경차 점유율은 지난해 2년 연속 10%에 채 못미친 8~9%의 박스권에 갇혔다. 한국인들이 전기차를 싫어하기 때문은 아니라고 추측한다.

원인은 주차장의 절대적 부족 때문이다. 한국은 특징적으로 아파트가 많아 전기차 전용 주차장 공간이 한정됐고 골목길에 세워야 하는 다세대 주택은 충전 인프라가 생길 수 없는 구조다.

개인 주택을 소유한 사람이면 모를까, 전기차 구입을 생각하는 대다수 시민은 전기차를 산다면 집에 주차할 곳이 있을지부터 생각한다. 주차문제의 나비효과는 전기차 소비까지 주춤하게 만드는 것이다.

아파트나 시공사 입장에선 안그래도 주차 공간이 협소한데 전기차만 주차가 가능한 공간을 만드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한다. 지하를 더 파는 것도 공사비 문제가 크게 걸려 있어 쉽지 않다. 

전기차 신차 등록대수가 지난해 급락한 것은 전 세계적 현상이지만, 얼리어답터라면 둘째가라면 서러운 한국인들마저 그런 양상을 보인 것은 직·간접적으로 주차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노르웨이 전기차 보급율이 80%가 넘는 것은 인구밀도가 낮고 주택 거주자가 많기 때문이다. 반면 한국의 인구밀도는 도시국가를 제외하고 세계 4위에 해당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다. 이런 환경에서 발상의 전환 없이는 전기차 점유율이 증가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상적인 답이지만, 이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것은 층수가 많은 전기차 전용 주차타워의 건설이다. 민영·공영 어느쪽도 좋다. 높은 주차타워 건설을 가로막고 있는 토지 용도 제한, 고도 제한 등의 규제를 정부가 풀어준다면 사업성이 커질 것이다. 

미국 같은 경우 샌프란시스코나 뉴욕과 같은 인구과밀 대도시엔 시내 곳곳에 초대형 주차타워가 존재한다. 이를 벤치마킹해 근방의 입주민인 것을 입증하게 하고 저렴한 가격대로 운영한다면 조금이나마 전기차 주차 문제는 해결된다. 전기차 구매 예정자에게도 큰 걱정거리를 덜어내게 해준다.

자전거를 막무가내로 세우는 것을 방지하려면 올바르게 세우라는 푯말을 설치하는게 아닌 자전거 선을 그려야 한다는 말이 있다. 전기차 보조금은 사실 1차원적 이야기다. 한국 상황에 맞는 해법을 찾아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